第二章(觀徼章, 養生章)상대성을 벗어나는 길
第二章(觀徼章, 養生章)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交)
高下相傾
音聞(聲)相和
前後相隨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弗居
夫惟弗居 是以不去
[ 풀이 ]
1.1 天下皆知美之爲美 斯惡已
皆知善之爲善 斯不善已
「 천하가 모두 아름다움이 아름다움인줄만 안다면 이는 추함일 뿐이다.
모두 착함善이 착함인줄만 안다면 이는 착하지 못할 뿐이다. 」
※ 斯(사) : 美之爲美 이나 善之爲善을 받는다.
1.2 故有無相生
難易相成
長短相形(交)
高下相傾
音聞(聲)相和
前後相隨
「 그러므로 있음과 없음이 서로 생하고
어려움과 쉬움이 서로 이루고
길고 짧음이 서로 비교되고
높고 낮음이 서로 기울고
소리와 음률이 서로 조화를 이루고
앞과 뒤가 서로 따른다. 」
※ 6개의 상대성을 드러내어 도의 작용을 표현한 것이다.
※ 신심명(선종 제3조 승찬대사 저)이 상대성을 벗어나 도의 실상으로 들어가는 것을 잘 말해주고 있다.
1.3 是以聖人處無爲之事
行不言之敎
「 이로써 성인은 무위의 일에 처하고
말없는 가르침을 행한다. 」
※ 不言: 말하지 않다, 시비분별을 하지 않다.
※ 聖人 : 聖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耳이다. 백서 노자 갑본에는 聲人, 을본에는 (耳口)人으로 되어 있다. 신의 소리를 듣고 말하는 가장 잘 하는 사람의 의미.
1.4 萬物作焉而不辭
生而不有
爲而不恃
功成而弗居
夫惟弗居 是以不去
「 만물을 만들었으되 말하지 않고
낳되 가지지 않고
행하되 자랑하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머무르지 않으며
저 오직 머무르지 않으니 이로써 버려지지 않는다. 」
※ 辭(사) : 사양하다, 말하다.
· 사양하다(하상공), 말하다, 주재하다(司)(고형).
※ 去(거) : 버려지다, 제거되다.
※ 弗居 : 머무르지 않다.
· 澤上於天 夬 君子以 施祿及下 居德 則忌(夬卦 象傳).
「 연못이 하늘위로 올라감이 쾌夬니 군자는 이로써 재물을 베풀어 아래에 미치고 덕에 머물러 꺼리는 것을 법칙으로 삼는다. 」
[기타사항]
※ 초간본에는 (難易相成)과 (生而不有) 두 문단이 없다.
※ 노자는 成功이라 하지 않고 功成이라고 표현한다.
※ 去 : 離也
· 不自居其善美 是以善美不離於其身也(朴世堂).
「 스스로 그 아름다움과 선에 머무르지 않으니 이로써 아름다움과 선이 그 몸에서 떠나지 않게 된다. 」
※ 感於物而動 故形爲聲 聲相應 故生變 變成方謂之音(禮記 樂經)
「 물에서 감동하여 동하므로 形은 소리가 되고 소리는 서로 응해서 변화를 생한다. 변하고 이루어지면 비로소 이를 音이라 하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