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논어 한구절

好行小慧잔재주를 부리면 어렵구나

비들목 2020. 4. 7. 12:06

16. 子曰 群居終日 言不及義 好行小慧 難矣哉

자왈 무리와 함께 있으면서 종일토록 말이 의리에 미치지 않고 조그마한 지혜를 행하기를 좋아하면 (도에 들어가기가)어렵구나.

 

[本文解說]

群居 : 羣居, 여럿이 모여 일없이 한가한 시간을 보내는 행위.

好行小慧 : 는 좋아하다, 은 행하다, 자랑하다, 小慧는 사소한 지혜나 재능.

難矣哉 : 은 어렵다, 矣哉는 탄식어기의 어조사.

 

[기타사항]

無恒産而有恒心者 惟士 爲能 若民則無恒産 因無恒心 苟無恒心 放辟奢侈 無不爲已(孟子 梁惠王上 第7).

일정한 재산과 생업恒産이 없어도 한결같은 마음恒心이 있는 것은 오직 선비만이 할 수 있다. 보통 사람이라면 恒産이 없으면 인하여 항심이 없다. 진실로 恒心이 없으면 자기 멋대로 하고 사치하는 마음이 하지 않는 바가 없을 뿐이다.

君子 居易以俟命 小人 行險以徼幸 子曰 射有似乎君子 失諸正鵠 反求諸其身(中庸 第14).

군자는 편안하게 거처해서 을 기다리나 小人은 요행으로 어려움을 행한다. 자왈 활쏘기는 군자와 같으니 표적을 맞히지 못하면 그 원인을 자기에게서 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