君子有三戒군자의 경계함은 성애 싸움 탐욕
7. 孔子曰 君子有三戒 少之時 血氣未定 戒之在色 及其壯也 血氣方剛 戒之在鬪 及其老也 血氣旣衰 戒之在得
「 공자왈 군자에게 세 가지 경계함이 있으니 젊은 시절에는 혈기가 아직 안정돠지 않았으므로 경계함은 여색女色에 있고, 장성함에 미쳐서는 혈기가 방정하고 강건하니 경계함은 싸움에 있고, 노인이 됨에 이르서서는 혈기가 이미 쇠약해지고 있으니 경계함은 탐냄에 있다. 」
[本文解說]
※ 待(대) : 의지하다, 기다리다. 剛(강) : 굳세다. 鬪(투) : 싸우다. 衰(쇠) : 쇠약하다.
※ 戒之 : 戒는 경계하다, 삼가다, 之는 일반적인 사람이나 사물.
※ 得 : 貪得.
[기타사항]
※ 人稟陰陽以生形 形之所待以生者 氣血 血稟於陰 行於脈之內 而爲營 氣稟於陽 行於脈之外而爲衛(元代 胡炳文의 論語通).
「 사람은 음양을 품어서 형체가 만들어지며, 몸이 의지하는 바로써 살아가는 것은 기혈이다. 혈은 陰을 품고 맥의 안에서 운행하므로 營氣가 되고 氣는 陽을 품고 맥의 밖에서 운행하므로 衛氣가 된다. 」
※ 聖人同於人者 血氣也 異於人者 志氣也 血氣 有時而衰 志氣則無時而衰也 少未定 壯而剛 老而衰者 血氣也 戒於色 戒於鬪 戒於得者 志氣也 君子 養其志氣 故不爲血氣所動 是以年彌高而德彌卲也(范祖禹).
「 성인이 남과 같은 것은 血氣이고 남과 다른 것은 志氣이다. 血氣는 때에 따라서 약해지는데 志氣는 때와 함께 쇠약해지지 않는다. 젊어서는 안정됨이 없고, 장성해서는 강하고, 늙어서 쇠해지는 것은 血氣이니, 색, 싸움, 탐욕을 경계하는 것은 志氣이다. 군자는 그 志氣를 기르므로 혈기에 의해 움직이는 바가 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나이가 들어도 德은 점점 밝아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