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의 단계
4.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三十而立 四十而不惑 五十而知天命 六十而耳順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4.1 子曰 吾十有五而志于學
「 자왈 나는 십 오세에 배움에 뜻을 두었다. 」
[本文解說]
※ 有 : 又와 같은 접속사. ‘~와 그리고’
※ 而 : 순접관계 접속사.
※ 志于學 : 志는 뜻을 두다, 于는 於와 같다, 學은 학문.
[기타사항]
※ 子曰 默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述而 第二章).
※ 子曰 若聖與仁 則吾豈敢 抑爲之不厭 誨人不倦 則可謂云爾已矣 公西華曰 正唯弟子不能學也(述而 第33章).
4.2 三十而立
「 삼십에 자립하게 되었다. 」
[本文解說]
※ 立(입) : 서다, 확고히 서다. 자력으로 서다. 事(사) : 일삼다, 전념하다.
4.3 四十而不惑
「 사십이 되어서는 미혹되지 않았다. 」
[本文解說]
※ 惑(혹) : 미혹하다, 의심하다.
· 不惑 則無所疑矣(程子) : 미혹되지 않으면 의심하는 바가 없다.
[기타사항]
※ 孔子는 齊나라에서 2년을 보낸 후 37세에 노나라로 돌아와 14년간 제자를 키운다. 不惑은 자기의 주체성이 확립되어 인생에 대한 불안 없이 세상을 바라보는 단계이다.
4.4 五十而知天命
「 오십이 되어서는 천명天命을 알았다. 」
[本文解說]
※ 知天命 : 知, 天命은 하늘의 뜻, 나의 한계, 나의 사명,
· 정자는 窮理盡性하는 의미로 해석한다.
4.5 六十而耳順
「 육십이 되어서는 귀가 순해졌다. 」
[本文解說]
※ 耳順 : 耳는 귀, 順은 순히 받아들이다, 거슬리는 말을 들어도 동요하지 않고 끝까지 들으며, 감언이설에 흔들리지 않아 자신의 주관대로 판단, 행동하는 경지이다.
· 聞其言而知其微旨也(鄭玹) : 말을 듣고는 미묘한 뜻을 안다.
4.6 七十而從心所欲 不踰矩
「 칠십이 되어서는 마음이 하는 바를 행하더라도 법도에 어긋나지 않았다. 」
[本文解說]
※ 踰(유) : 넘다, 건너다. 矩(구) : 곱자, 법도, 규범, 기준.
※ 從心所欲 不踰矩 : 從(心所欲), 不踰는 넘지 않다, 矩는 법도.
· 心 : 마음에서 나오는 생각, 감정적인 욕망.
※ 所 : ~하는 바, ~하는 것, 주어와 술어 사이에 쓰여 명사구로 만들어 준다.
[기타사항]
※ 孔子 登東山而小魯 登太山而小天下 故 觀於海者 難爲水 遊於聖人之門者 難爲言 觀水有術 必觀其瀾 日月 有明 容光 必照焉 流水之爲物也 不盈科 不行 君子之志於道也 不成章 不達(孟子 盡心章 上24).
「 공자가 동산에 올라서는 노나라를 작게 여겼고 태산에 올라서는 천하를 작게 여겼다. 그러므로 바다를 본 자에게 물水이 되기 어렵고 성인의 문하에서 노닌 자에게 말하기가 어렵다. 물水을 봄에는 방법이 있으니 반드시 그 물결을 보며, 일월은 밝아 빛을 머금는 곳을 반드시 비추게 되며, 흐르는 물은 구덩이를 채우지 않으면 나아가지 않고, 군자가 도에 뜻을 둠에 文章을 이루지 않으면 통달하지 못한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