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어/논어 한구절
賢哉 回也현명하구나 안회는
비들목
2020. 6. 4. 12:39
9. 子曰 賢哉 回也 一簞食 一瓢飮 在陋巷 人不堪其憂 回也不改其樂 賢哉 回也
「 자왈 현명하구나, 안회回는 한 그릇의 밥을 먹고 한 바가지의 물을 마시고 누추한 곳에 산다. 사람들은 그것을 근심이라 여기고 감당할 수 못하는데, 안회는 그것을 즐거움이라 여기고 고치지 않으니 현명하구나. 안회여. 」
[本文解說]
※ 簞(단) : 소쿠리, 밥그릇. 瓢(표) : 박, 바가지. 陋(누) : 좁다. 巷(항) : 거리. 堪(감) : 견디다, 감당하다. 陋巷(누항) : 누추하고 좁은 거리.
※ 賢哉 回也 : 哉는 감탄의 어기사, 也는 음절조절 어기조사.
※ 一簞食(사) : 一簞은 한 그릇, 食은 밥.
※ 人不堪其憂 : 人, 不堪은 감당하지 못하다, 其憂의 其는 일반적인 사람.
※ 回也不改其樂 : 回也, 不改는 바꾸려고 하지 않다, 其樂의 其는 顔回, 樂(락).
[기타사항]
※ 險以說 困而不失其所亨 其唯君子乎 貞大人吉 以剛中也(周易 困卦 彖傳).
「 험하고 기뻐하고 곤궁해도 그 누리는 바를 잃지 않으니 오직 군자답구나. 바르게 하면 大人이 吉하다는 것은 剛으로써 中에 있기 때문이다. 」
※ 孟子 曰 大匠 不爲拙工 改廢繩墨 羿 不爲拙射 變其彀率 君子 引而不發 躍如也 中道而立 能者從之(盡心上 第41章).
「 장인大匠은 미숙한 공인을 위하여 먹줄과 먹통을 고치거나 폐하지 않,고 예羿는 미숙한 궁사를 위해 활쏘기의 기준을 바꾸지 않는다. 군자는 활시위를 당겨서 발하지 아니하여도 뛸 듯이 나아가 道에 적중하여 서 있으니 능한 자가 따른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