道奧도의 오묘함
第六十二章(道奧章, 爲道章)
道者萬物之奧
善人之寶 不善人之所保
美言可以市
尊行可以加人
人之不善 何棄之有
故立天子 置三公
雖有拱璧以先駟馬 不如坐進此道
古之所以貴此道者何
不曰求以得 有罪以免耶
故爲天下貴
[ 풀이 ]
1.1 道者萬物之奧
善人之寶 不善人之所保
「 도는 만물의 속이며
선인의 보배이고 불선한 사람도 또한 보존하고 있는 것이다. 」
※ 奧(오) : 속, 오묘함, 비밀, 귀하다. 저장하다(奧 藏也, 하상공).
· 백서 갑본·을본 모두에 注로 되어 있다.
· 奧에 대해 藏也 道爲萬物之藏 無所不容也(하상공).
1.2 美言可以市 尊行可以加人
「 도에서 나오는 아름다운 말은 팔 수 있고 존엄한 행실은 사람에게 더할 수 있다. 」
※ 市(시) : (시장에서) 팔다, 사다, 거래하다. 加(가) : 더하다, 미치다, 베풀다.
※ 尊行(존행) : 존엄한 행실, 德行.
1.3 人之不善 何棄之有
故立天子 置三公
「 사람이 선하지 못하다고 어찌 버리겠는가.
그러므로 천자를 세우고 삼공을 둔다. 」
1.4 雖有拱璧以先駟馬 不如坐進此道
「 비록 큰 구슬을 가지고서 한 채의 수레를 앞세운다 해도
이 도에 앉아서 나아감만 같지 못하다. 」
※ 璧(벽) : 둥근 옥. 拱(공) : 껴안다. 拱璧(공벽) : 한 아름이나 되는 아주 큰 구슬.
1.5 古之所以貴此道者何
不曰求以得 有罪以免耶
故爲天下貴
「 옛날에 이 도를 귀하게 여긴 것은 무엇 때문인가.
구하면 얻어지고 죄가 있어도 면할 수 있다고 말하지 않던가.
그러므로 천하의 귀함이 된다.
※ 不曰~ : ~라고 말하지 않던가(豈不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