小國寡民노자의 이상향
第八十章(不徙章, 獨立章)
小國寡民
使有什伯之器 而不用
使民重死 而不遠徙
雖有舟車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使民復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鄰國相望 鷄犬之音相聞
民至老死 不相往來
[ 풀이 ]
1.1 小國寡民
使有什伯之器 而不用
使民重死 而不遠徙
「 작은 나라는 백성들의 수가 적다.
보통사람보다 10배나 100배 뛰어난 기량을 가진 사람을 쓰지 않도록 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중하게 여겨 멀리 가지 않도록 한다. 」
※ 寡(과) : 적다, 작다. 國(국) : 나라, 고장, 지방, 지역, 당시 國은 지방 정치의 단위를 가리키는 명사.
※ 什伯之器 : 병기 혹은 각종 기구,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쓸 수 있는 큰 그릇, 달리 보통 사람보다 십 배, 백 배나 뛰어난 기량을 가진 사람.
1.2 雖有舟車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使民復結繩而用之
「 비록 배와 수레가 있을 지라도 탈 이유가 없도록 하며
비록 병사와 무기가 있을 지라도 진군할 까닭이 없도록 하며
백성들로 하여금 소박한 마음을 회복하게 한다. 」
※ 無 : 금지사로 ‘~하게 하지마라’. 陳(진) : 펴다, 베풀다.
※ 結繩(결승) : 결승문자, 소박한 시대.
1.3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 자기가 사는 곳의 음식을 달게 여기고 복장을 아름답게 여기며
거처함을 편안히 여기며 풍속을 즐기게 한다. 」
1.4 鄰國相望 鷄犬之音相聞
民至老死 不相往來
「 인접한 나라의 백성이 서로 바라보고 닭과 개 소리가 서로 들리고
백성은 늙어 죽음에 이르게 될 때까지 서로 왕래하지 않는다. 」
[기타사항]
※ 內足而外無所慕 故以其所有爲美 以其所處相樂 而不復求也(소철).
「 안으로 족하면 밖으로 사모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그 있는 바로써 아름다움으로 삼고 그 거처하는 바로써 서로 즐거움으로 삼으므로 다시 구하지 않는 것이다. 」
※ 이 장은 노자사상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모습을 담은 조감도이다. 요순시대의 백성과 같이 무위이화의 다스림에 있는 개인들이 각자 행함이 없이 행하면서도 사회의 통합을 이루어 내는 시스템을 小國寡民이라 하지 않을까.
※ 使民復結繩而用之 : 단순히 옛날로 돌아가자는 수구적 개념이 아닌 원시 시대의 순수성을 회복하여 사는 방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