觀妙묘함을 보다
第一章(觀妙章, 體道章)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此兩者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 풀이 ]
1.1 道可道 非常道
名可名 非常名
「 도를 도라고 말할 수 있으면 참된 도가 아니고
이름을 이름으로 부를 수 있으면 참된 이름이 아니다. 」
※ 常道(상도) : (恒道), 늘 그러한 도, 진리, 참된 도.
· 道(도) : 우주만물의 근원자리
· 중국 한나라 추존 황제 劉恒의 이름을 諱하여 恒을 常으로 수정.
※ 道可道 : 道는 명사로 도, 可는 조동사, 道는 동사로 말하다.
1.2 無名天地之始
有名萬物之母
「 이름 없음은 천지의 시작이 되고
이름 있음은 만물의 어미가 된다. 」
「 無는 천지의 시작이라고 이름하며
有는 만물의 어미라 명명한다. 」
※ 無(무) : 천지가 혼돈한 상태.
※ 無名(무명) : 無形.
※ 有(유) : 우주만물이 만물이 만들어지는 상태.
※ 有名(유명) : 有形.
※ 母(모) : 어미, 생성의 자리, 본원.
1.3 故常無欲以觀其妙
常有欲以觀其徼
「 그러므로 늘 함이 없음으로써 묘함을 보고
늘 함이 있음으로써 경계를 본다. 」
※ 妙(묘) : 오묘함(眇), 空의 세계.
※ 徼(요) : 돌다, 구하다, 훔치다, 변방, 변방의 경계, 色의 세계.
※ 徼 : ①歸也(하상공), 歸終也(왕필), ②竅(규)로 보아 구멍으로 해석(黃茂材, ③邊으로 보아 가장자리로 해석(陸德明), ④曒(교)로 보아 밝다(頓煌本).
1.4 此兩者 同出而異名
同謂之玄
玄之又玄
衆妙之門
「 이 둘은 같이 나와서 이름을 달리 했으니
같음을 일러 현묘하다 하고
현묘하고 또 현묘하니
뭇 묘함의 문이 된다. 」
※ 玄 : 현묘하다, 어둡다, 玄同과 같은 의미.
※ 兩者 : ①始와 母(왕필). ②無欲과 有欲(하상공). ③無와 有, 常無와 常有(宋대이후). ④ 道(태극)와 名(음양)(保晩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