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七十八章(水德章, 任信章) : 물의 덕
第七十八章(水德章, 任信章)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以其無以易之
故弱勝强 柔之勝剛
天下莫不知 莫能行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
[ 풀이 ]
1.1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以其無以易之
「 천하에 물水보다 유약한 것이 없으니
단단하고 강한 것을 공격하여 이기지 못함이 없는 것은
천하의 어떤 것도 물水을 바꿀 수가 없기 때문이다. 」
※ 而 : 역접관계 접속사.
※ (莫之能勝) : 御定道德經(청 세조때 발간)에서는 (莫之能先).
※ 以其無以易之 : 以其의 구조 그것은 ~하기 때문이다, 無以易는 바꿀 수가 없다, 之는 물.
[王弼] 以 用也 其 謂水也 言用水之柔弱 無物可以易之也
「 以는 쓰임이고, 其는 물을 일컫는다. 물水의 유약함을 쓰면 물水을 바꿀 수 있는 물건은 없다. 」
[保晩齋] 水之攻堅强 觀於注石而石爲之磨 駕山而山爲之摧 灌城而城爲之陷 皆可驗也 無以易之 謂天下之物 無以易水也
「 물水이 단단하고 강한 것을 공격하는 것으로, 돌에다 물을 쏟으면 돌은 닿아지게 되고 물이 산을 오르면 산이 깎아지고 城에 물이 유입되면 성이 함몰되는 것을 모두 경험적으로 관찰할 수 있는 것이다. 바꿀 수가 없다無以易之는 것은 천하의 물건은 물水을 바꿀 수가 없다는 것이다. 」
※ 駕(가) : 멍에, 타다, 오르다. 摧(최) : 꺾다, 막다. 注(주) : 물 대다, 쏟다.
1.2 故弱勝强 柔之勝剛
天下莫不知 莫能行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
「 그러므로 유약한 것은 강한 것을 이기고 부드러움은 굳센 것을 이김을
천하는 알지 못함이 없으나 그것을 행하지는 못한다.
이로써 성인은 말하기를
나라의 가장 낮은 자리에 처하는 것을 일러 사직의 주인이라고 말하고
나라의 상스럽지 못한 것을 받는 이를 일러 천하의 왕이라 한다.
바른 말은 반대로 말하는 듯하다. 」
※ 若(약) : ~와 같다. 垢(때) : 때, 티끌, 낮은 곳.
※ 受國之垢 : 受는 받다, 처하다, 國之垢는 나라의 때, 나라의 낮은 자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