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 有心哉 擊磬乎 旣而 曰 鄙哉 硜硜乎 莫己知也 斯已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子曰 果哉 未之難矣

 

42.1 子擊磬於衛 有荷蕢而過孔氏之門者曰 有心哉 擊磬乎

공자가 위나라에서 경쇠를 칠 때 삼태기를 메고 공자의 집을 지나가는 자가 말하기를 천하에 마음이 있구나. 경쇠를 침이여.

 

[本文解說]

() : 부딪히다, 치다. () : 경쇠, 편경. () : 메다. () : 삼태기.

有心哉 : 는 있다, , 는 탄식의 어기사, 연주 소리에 연주자의 마음을 읽을 수 있다는 뜻이다.

 

[기타사항]

공자는 29세 때 魯樂師 師襄子에게서 거문고를 배웠고, 34세에는 낙양에 가서 萇弘에게 왕실음악을 배웠으며, 36세에 나라에서 임금의 를 듣고 심취하였다. ·蔡之厄을 겪는 동안에도 제자에게 음악을 연주하였다, 나라로 돌아온 다음 이 제자리를 얻었다고 한다.

 

42.2 旣而 曰 鄙哉 硜硜乎 莫己知也 斯已而已矣 深則厲 淺則揭

이윽고 말하기를 비루하구나, 확고하구나. 자기를 알아주지 않는다면 그만둘 뿐이니, 물이 깊으면 옷을 벗어 물을 건너고 얕으면 바지를 추어올려 건너는 것이다.

 

[本文解說]

旣而 : 이윽고. () : 비루하다, 고루하다. () : 돌 소리, 소인의 모양. () : (옷을)추어올리다, 걷다. () : 힘쓰다, (옷을 벗고)물을 건너다.

硜硜(갱갱) : 꼼꼼한 소인의 특성, 융통성 없고 답답한 소리, 경석이 울리는 소리.

莫己知也 : 부정문에서 莫知己也의 도치, 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조사.

斯已而已矣 : ~하면 곧, 止字의 뜻. 而已矣‘~일 뿐이다라는 뜻의 어조사.

深則厲 淺則揭 : 은 깊다, , 는 옷을 벗고 건너다, 은 얕다, , 는 아랫도리를 추어올려 건너다.

· <詩經 邶風 匏有苦葉>에 나오는 말로 時宜에 맞게 나아감과 그침(行止)를 결정하는 것에 비유하고 있다.

· 匏有苦葉 濟有深涉 深則厲 淺則揭(詩經 邶風 匏有苦葉).

박에 마른 잎이 달려 있고 濟水가에는 깊은 나루터가 있네. 이하 본문과 같은 내용이다.

 

[기타사항]

衛靈公은 군사에 관심이 많아 공자와 정치적 노선이 상이하므로 공자는 답답한 마음을 담아 노랫가락에 묻어난 것으로 유추해 볼 수 있다.

 

42.3 子曰 果哉 末之難矣

자왈 과감하구나 그 사람을 나무랄 수가 없구나.

 

[本文解說]

() : 어렵다, 꺼리다, 나무라다, 힐난하다.

果哉 : 는 과감하다, 용감하다. 는 감탄의 어조사.

末之難矣 : ‘~할 수 없다’. 難之의 도치. 은 비방하다. 有荷蕢者, 는 단정어기의 어조사.

· 달리 末之無之로 보고 어렵게 여기다는 보어로 보고 는 도치에 따른 구조조사.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