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二十五章(混成章, 象元章)
有物混成
先天地生
寂兮寥兮
獨立而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大曰逝 逝曰遠 遠曰返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 풀이 ]
1.1 有物混成
先天地生
「 물이란 것이 혼돈에서 이루어졌으니
천지보다 먼저 생겼다. 」
※ 有物 : 有는 있다, 物은 一物로 ‘물이라는 것’, 즉 道.
· 불교의 관점으로는 마음을 가리킨다고 볼 수 있다.
※ 混成(혼성) : 스스로 그러하게 이루어졌다는 말, 天地未分의 상태, 카오스 상태.
※ 有物混成
· 이름 붙이기 이전, 즉 無名의 상태(제1장에 나오는 無名天地之始).
※ 天地 : <백서본>에서는 天地, <죽간본>에서는 天下로 되어 있음.
1.2 寂兮寥兮
獨立而不改
周行而不殆
可以爲天下母
「 고요하구나, 적막하구나.
홀로 존재하여 변하지 않고
두루 행하여도 다하지 않으니
천하의 어머니로 삼을 수가 있다. 」
※ 寂(적) : (지극히)고요하다, 적막하다. 寥(요) : 쓸쓸하다, 적막하다, 텅 비다, 텅 비어 형체가 없는 상태, 고요하다.
※ 寂兮寥兮 : 말할 수 없는 경지를 표현한 말로 寂然不動의 자리라 할 수 있다.
※ 改(개) : 고치다, 바뀌다, 변하다. 殆(태) : 위태하다, 다하다(窮). 周(주) : 두루.
※ 周行而不殆 : 죽간본과 백서본 모두에 없다.
1.3 吾不知其名
字之曰道
强爲之名曰大
「 나는 그것의 이름을 알지 못하지만
굳이 그것을 글자로 나타내면 도道라고 하며
억지로 이름을 지어서는 ‘대大’라 한다. 」
※ 大(대) : 크다, 시간적 공간적으로 한정할 수 없는 상태를 표현.
· 사람이 정면으로 딱 버티어 서 있는 모습을 형용한 글자다.
1.4 大曰逝
逝曰遠
遠曰返
「 크면 이르지 않는 바가 없고,
이르지 않는 바가 없으면 끝까지 가게 되고,
끝에 이르면 돌아가게 된다. 」
※ 逝(서) : 가다(行也), 이르지 않는 바가 없다(無所不至), 끝이 없다.
· 안으로부터 시작하여 사방팔방을 향해 영원히 뻗어 나간다는 의미(남). 無常
※ 遠(원) : 멀다, 멀어지다.
1.5 故道大 天大 地大 王亦大
域中有四大
而王居其一焉
「 그러므로 도가 크고 하늘이 크고 땅이 크고 왕도 또한 크다.
천지간에 네 개의 큼이 있는데
왕은 그 하나에 처한다. 」
※ 居(거) : 차지하다, 처하다(處).
※ 域中(역중) : 공간 사이, 천지간, 우주 사이, 권역(場)으로 ‘field’의 개념.
· 域은 백서본에서는 國으로 되어 있다.
※ 王(왕) : 사람을 대표하는 말.
· 다음에 나오는 ‘人’의 잘못된 표현이라는 주장도 있다.
1.6 人法地
地法天
天法道
道法自然
「 사람은 땅을 본받고
땅은 하늘을 본받고
하늘은 도를 본받고,
도는 스스로 그러함을 본받는다. 」
※ 法(법) : 본받다, 상호 교섭하다.
※ 自然(자연) : 스스로 그러하다.
'노자 > 도덕경 본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가 하나를 생하다 (0) | 2021.01.04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