逸民 伯夷 叔齊 虞仲 夷逸 朱張 柳下惠 少連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叔齊與 謂柳下惠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謂虞仲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逸民 伯夷 叔齊 虞仲 夷逸 朱張 柳下惠 少連
「 세속을 초월한 이는 백이伯夷·숙제叔齊·우중虞中·이일夷逸·주장朱張·유하혜柳下惠·소연少連이다 」
[本文解說]
※ 逸(일) : 숨다, 달아나다. 叔(숙) : 아재비, 젊다. 虞(우) : 헤아리다, 근심하다.
※ 逸民 : 세속을 초월한 사람, 古今 이래 은거한 人才, 逸은 佚과 통하며 은거하다.
※ 虞仲 : 吳泰伯의 동생 仲雍.
※ 夷逸 : 사적이 불분명하다.
※ 朱張 : 字가 子弓, 순자가 공자에 비견한 인물로, 진퇴, 취사의 도가 공자와 거의 합치했다고 한다. 侏張, 譸張으로도 표기하는 佯狂의 뜻으로 보기도 한다(정현).
※ 少連 : 孔子曰 少連大連善居喪 三日不怠 三月不懈 期悲哀 三年憂 東夷之子也(禮記 雜記下).
「 공자왈 소연少連·대연大連은 상에 거함을 잘하였는데 삼일동안 나태하지 않았고 삼개월이나 해이하지 않았으며 일년 동안 슬퍼하였고 삼년 동안 喪에 거하였다. 동이의 사람이다. 」
[기타사항]
※ 柳下惠 不羞惡君 不卑小官 進不隱賢 必以其道 遺失而不怨 阨窮而不憫 故 曰 爾爲爾 我爲我 雖袒裼裸裎於我側 爾焉能浼我哉 故 由由然與之偕而不自失焉 公孫畜上 第9).
「 유하혜는 나쁜 군주를 섬김을 수치로 여기지 않았으며 낮은 지위를 비천하다고 하지 않으며 나아가면 현명함賢을 숨기지 않고 반드시 道로써 하였으며 잃어도 원망하지 않고 곤란을 당해도 번민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말하기를 너는 너고 나는 나다. 비록 나의 옆에서 옷을 걷고 벗는 네가 어찌 나를 더럽힐 수 있겠는가 라고 하였다. 그러므로 여유로워 그들과 함께 있어도 올바름을 스스로 잃지 않았다. 」
子曰 不降其志 不辱其身 伯夷叔齊與
「 자왈 자기의 뜻을 굽히지 않고서 몸을 욕되게 하지 않는 이는 백이伯夷와 숙제叔齊일 것이다 」
[本文解說]
※ 降(항) : 굴복하다. 辱(욕) : 욕되게 하다.
※ 與 : 어조사.
[기타사항]
※ 伯夷伊尹 何如 曰 不同道 非其君不事 非其民不使 治則進 亂則退 伯夷也(孟子 公孫畜上 第2).
「 백이와 이윤은 어떻습니까. 말하기를 도가 같지 않다. 그 군주가 아니면 섬기지 않고 그 백성이 아니면 부리지 않고 다스려지면 나아가고 혼란스러우면 물러나는 이는 伯夷다. 」
※ 伯夷 非其君不事 非其友不友 不立於惡人之朝 不與惡人言 立於惡人之朝 與惡人言 如以朝衣朝冠 座於塗炭 推惡惡之心 思與鄕人立 其冠不正 望望然去之 若將浼焉(孟子 公孫畜上 第9).
「 伯夷는 그 군주가 아니면 섬기지 않았고 그 친구가 아니면 벗하지 않았고 악인의 조정에 서지 않았으며 악인과 함께 말을 하지 않았다. 악인의 조정에 서는 것과 악인과 더불어 말을 함을 마치 朝衣와 朝冠을 입고 도탄에 앉아있는 것처럼 여겼다. 오직 악인을 미워하는 마음을 미루어서 생각함에 향인과 더불어 설 때에 그의 관이 올바르지 않으면 망망연하게 떠났으니 장차 자기를 더럽히는 것으로 여겼다. 」
謂柳下惠少連 降志辱身矣 言中倫 行中慮 其斯而已矣
「 유하혜柳下惠와 소연少連을 평하기를 뜻을 굽혀서 몸을 욕되게 하였으나 말은 윤리에 적중하고 행동은 사려에 맞았으니 아마 그런 정도일 뿐이라고 했다. 」
[本文解說]
※ 中(중) : 맞다, 적중하다.
※ 其斯而已矣 : 其는 ‘아마’, 斯는 言中倫 行中慮를 가리키는 지시대사. 而已矣는 ‘~일 뿐이다’.
謂虞仲夷逸 隱居放言 身中淸 廢中權
「 우중虞仲과 이일夷逸을 평하기를 은거해서 말을 함부로 했지만, 몸은 깨끗함에 맞았고 벼슬하지 않는 것은 권도權道에 맞았다. 」
[本文解說]
※ 放(방) : 놓다, 멋대로 하다, 버리다. 廢(폐) : 벼슬하지 않다.
※ 放言 : 放은 (말을)버리다, 놓아두다, 言은 말, 세상일에 대해 더는 말하지 않다.
※ 廢中權 : 廢는 벼슬하지 않다, 中은 적합하다, 權은 권도.
[기타사항]
※ 古之人 得志 澤加於民 不得志 修身見於世 窮則獨善其身 達則兼善天下(孟子 盡心上 第9).
「 옛날 사람들은 뜻을 얻으면 그 은택이 백성에게 더해지고 뜻을 얻지 못하면 몸을 닦아 세상에 드러냈으니, 막히면 그 몸을 홀로 善하게 하고 등용되면 천하를 善하게 하였다. 」
我則異於是 無可無不可
「 나는 이들과 달라서 그래야 한다는 것도 그래야 하지 않는다는 것도 없다. 」
[本文解說]
※ 我則異於是 : 我, 則은 곧, 異는 다르다, 於는 ~와 是는 逸民.
[기타사항]
※ 觀乎賢人則見衆人 觀乎聖人則見賢人 觀乎天地則見聖人(法言 修身).
「 賢人을 관찰하면 뭇사람을 볼 수 있고, 聖人을 관찰하면 賢人을 볼 수 있고 천지를 관찰하면 성인을 볼 수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