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子曰 沽之哉沽之哉 我 待賈者也

자공子貢이 말했다.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는데 상자에 넣어서 보관하시겠는지요, 아니면 좋은 가격을 구해서 팔려는 것인지요. 자왈 팔아야지, 팔아야지, 나는 값을 기다리는 사람이다.

 

韞 藏也 匵 匱也 沽 賈也. 子貢 以孔子有道不仕 故 設此二端以問也. 孔子言固當賈之 但當待賈 而不當求之耳

o 范氏曰 君子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士之待禮 猶玉之待賈也. 若伊尹之耕於野 伯夷太公之居於海濱 世無成湯文王 則終焉而已. 必不枉道而從人 衒玉而求售也

 

은 보관하는 것이고 궤는 상자이고 고는 파는 것이다. 자공子貢은 공자가 가 있음에도 벼슬하지 않으므로 이 두 개의 단서를 설정함으로써 질문한 것이다. 공자가 진실로 마땅히 팔아야하겠지만 다만 값을 기다리는 것이니, 팔리기를 구함은 부당하다고 말한 것이다.

o. 범씨范氏가 말했다. 군자가 일찍이 벼슬하려고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또한 그 로 말마암지 않는 것을 미워한 것이니 선비가 예를 기다림은 마치 이 값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예를 들면 이윤伊尹이 들에서 밭을 갈고 백이伯夷와 강태공太公이 바닷가에서 거처한 것은 세상에 성탕成湯과 문왕文王 같은 사람이 없으면 마칠 뿐이지, 를 굽혀서 사람을 따르거나 옥을 자랑해서 팔리기를 구함은 아닐 것이다.

 

[本文解說]

() : , 여기. () : 보관하다, 감추다. () : , 상자. () : 팔다, 사다. () : 주다, 받다. () : 빌리다, 빌려주다. (, ) : , 가격, 명성, ()장사하다, 사다, 팔다.

韞匵而藏諸 : 은 감추다, 잘 포장하다, 는 상자, 는 체증관계접속사, 은 감추다, ()之乎, 美玉.

求善賈 : 는 구하다, 善賈는 좋은 값, 달리 좋은 장사치.

沽諸 : 는 팔다, ()之乎, 美玉.

沽之哉 : 의 의미를 강조하는 조사, 는 감탄의 어기사.

待賈者也 : 는 기다리다, 는 값, 는 놈, 는 판단의 어기사.

 

[集註풀이]

() : . () : 뽐내다, 자랑하다. () : 팔다, 팔리다. () : 팔다. () : 사다. () : 주다, 팔다. () : 빌리다, 빌려주다.

終焉而已 : 은 마치다, 끝내다, 焉而已는 연용형 어조사, ‘~일 뿐이다’.

 

[기타사항]

古之人 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不由其道而往者 與鑽穴隙之類也(孟子 滕文公下 第3).

옛날 사람이 일찍이 벼슬을 하지 않으려고 한 것은 아니나 또한 그 를 말미암지 않음을 미워한 것이니 그 를 말미암지 않고 가는 것은 문풍지에 구멍을 뚫고 엿보는 유형이다.

 

9-4. 子絶四 毋意 毋必 毋固 毋我

공자는 네 가지가 없으니 사사로운 뜻이 없고 기필함이 없고 고집함이 없고 자기를 내세움이 없다.

 

絶 無之盡者. 毋 史記 作無 是也. 意 私意也 必 期必也 固 執滯也 我 私己也. 四者相爲終始 起於意 遂於必 留於固 而成於我也. 蓋意必 常在事前 固我 常在事後. 至於我又生意 則物欲牽引 循環不窮矣

o 程子曰 此毋字 非禁止之辭. 聖人 絶此四者 何用禁止

o 張子曰 四者 有一焉 則與天地不相似

o 楊氏曰 非知足以知聖人 詳視而默識之 不足以記此

 

은 없음이 다한 것이다. 史記로 되어 있는데 이것이 옳다. 는 사사로운 뜻이고 필은 기필하는 것이고 고는 고집하여 막히는 것이고 아는 자기를 사사롭게 하는 것이다. 네 가지는 서로 끝과 처음이 되니 뜻에서 일어나서 기필함에서 이루고 고에서 머물며 아에서 이룬다. 와 필은 늘 일의 앞에 있는 것이고 고와 아는 늘 일의 뒤에 있다. 자기를 사사롭게 함에 이르고 또한 사사로운 뜻이 생기면 物欲이 견인하여 순환함이 끝이 없다.

o. 程子가 말했다. 라는 글자는 금지의 말이 아니다. 성인은 이 네 가지를 끊은 사람인데 어찌 금지하는 글자를 쓰겠는가.

o. 장자張子가 말했다. 네 가지에 하나라도 있으면 천지와 더불어 서로 같지 않다.

o. 양씨楊氏가 말했다. 지혜가 충분히 성인을 알아서 상세히 보고 말없이 속으로 깊이 이해하는 자가 아니면 이것을 기록하는 데 부족할 것이다.

 

[本文解說]

() : 끊다, 없다, 단절되다. () : 사심, 사욕. () : 기필, 단정, 기필하다. () : 고집, 집착. () : 외고집, 자기중심적.

: , .

毋意 : , 는 억측하다, 私意,

· 以道爲度 故不任意(논어주소).

毋必 : , 은 기필하다, 기어코 자신의 뜻을 관철하다.

毋固 : , 는 고집하다, 꽉 막히다,

· 無可無不可 故無固行(논어주소).

毋我 : , 는 아집을 부리다, 자기중심적으로 생각하다. 자신을 내세우다,

· 다산은 舍己從人無我라고 함.

 

[集註풀이]

() : 막히다. () : 끌다. () : 지키다, 몰입하다.

有一焉 則~ : 於是四者, ~하면 곧.

(知足以知聖人 詳視而默識之) : ~아니면, 는 지혜, 足以知는 알 수 있다, 聖人, 은 상세히, 는 보다, , 은 묵묵히, 은 알다, 는 일반적인 사실.

 

[기타]

주자는 4가지를 병렬관계로 보지 않고 대학의 誠意로 말미암아 毋意 毋必 毋固 毋我 誠意로 인과관계가 성립되는 단계적 과정으로 제시.

· 지욱은 迷惑, , 로 해석한다.

是以聖人無爲 故無敗 無執故無失 是以聖人亡爲 故無敗 無執故無失(노자 제64)

이 때문에 성인은 무위하므로 패함이 없으며 집착이 없으므로 잃음이 없다. 이로써 성인은 함이 없으므로 잃음이 없다. 집착이 없으므로 잃음이 없다.

無我相, 無人相, 無衆生相, 無壽者相(金剛經), 은 형상 또는 현상.

나라는 상과 사람이라는 상, 중생이라는 상, 목숨을 가진 것의 상이 없다.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물가의 탄식  (0) 2020.03.11
값을 구하지 않고 기다리다  (0) 2020.03.10
공자가 자신을 표현하다  (0) 2020.03.02
묵묵히 알고 배움에 싫증이 없다  (0) 2020.02.29
아는 자 좋아하는 자 즐기는 자  (0) 2020.02.26

18. 葉公 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18.1 葉公 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

섭공葉公이 자로子路에게 공자에 대해 물으니 子路가 대답하지 못했다.

 

葉公 楚葉縣尹沈諸梁 字子高 僭稱公也. 葉公 不知孔子 必有非所問而問者 故 子路不對 抑亦以聖人之德 實有未易名言者與

 

섭공葉公나라 섭현葉縣의 윤심제량尹沈諸梁으로 는 자고子高이며 공이라고 멋대로 칭했다. 섭공은 공자를 알지 못하여 반드시 물을 바가 아닌데 물는 것이므로 자로가 대답하지 않았을 것이다, 아니면 또한 성인의 덕이 로 쉽게 이름하여 말할 수 없는 것이 있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本文解說]

(, ) : (), ()의 하나. () : 대답하다.

問孔子於子路 : 은 묻다, 孔子, ~에게, 子路.

 

[集註풀이]

() : 가라앉다. () : 누르다, 아니면. () : 벼슬아치, 다스리다

葉公 楚葉縣尹沈諸梁 : 葉公, , 葉縣, 縣尹이라는 벼슬, 沈諸梁은 이름.

實有未易名言者與 : 은 실로, 는 있다, 과 같다, 는 부사로 쉽게’, 은 드러내다, 이름 하다. 은 말하다, ~한 것, 는 의문어기의 어조사.

 

[기타사항]

공자가 유랑하던 시기인 공자나이 63 ~64세 전후에 일어났던 일로 추정된다.

 

18.2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以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

자왈 너는 어찌하여 말하지 않았느냐. 그 사람됨은 발분하면 먹는 것을 잊고 음악으로 근심을 잊고 늙음이 장차 오는 것을 알지 못하는 사람일 뿐이라고.

 

未得則發憤而忘食 已得則樂之而忘憂. 以是二者 俛焉 日有孶孶 而不知年數之不足. 但自言其好學之篤爾. 然 深味之 則見其全體至極 純亦不已之妙 有非聖人 不能及者. 蓋凡夫子之自言 類如此 學者宜致思焉

 

얻지 못하면 발분하여 먹는 것을 잊고 이미 얻었으면 즐거워하여 근심을 잊는다. 이 두 가지로써 힘쓸 뿐이니 매일 부지런하여 남아있는 시간이 부족한 것을 알지 못할 뿐이다. 다만 스스로 배움을 즐기는好學 일의 독실함을 말할 뿐이다. 그러나 깊이 음미하면 그 전체가 지극하고 순수하여 또한 그치지 않는 묘함은 성인이 아니면 미칠 수 없는 것임을 볼 수 있다. 무릇 夫子가 스스로 한 말은 대개 이와 같으므로 배우는 자들은 마땅히 생각을 지극하게 하여야 한다.

 

[本文解說]

() : , 와 같음. () : 어찌, 무엇. () : 분발하다, 결내다. () : 잊어버리다.

發憤忘食 : 분발하여 먹는 것까지 잊을 정도로 몰입하는 즐거움을 나타낸다.

樂以 : 以樂()으로 목적어와 전치사가 도치, 은 즐거움, 음악.

不知老之將至云爾 : 不知는 모르다, 는 늙음, 는 주격조사, 은 장차, 는 이르다, 云爾~일 뿐이다.

· 云爾 : 漢代이전에는 이러할 뿐이다(不過如此)’로 강조 효과, 漢代이후는 단정 어기사로 而已와 같이 문장 끝에 사용된다.

 

[集註풀이]

() : 힘쓰다. () : 부지런하다. () : 대개.

年數(연수) : 햇수, 해의 수.

不知年數之不足 : 不知는 알지 못하다, 年數之不足은 남은 횟수가 부족하다.

類如此 : 는 대개, 如此는 이와 같다.

學者宜致思焉 : 는 마땅히, 는 지극하게 하다, 는 생각, 은 어조사.

 

[기타사항]

忘身之老也 不知年數之不足也 俛焉日有孶孶 斃而後已(禮記 表記篇).

몸이 늙음을 잊고 남아 있는 햇수의 부족함을 모른다. 힘쓰고 매일 부지런하여 죽은 후에야 그친다.

蓋曰天之所以爲天也 於乎不顯 文王之德之純 蓋曰 文王之所以爲文也 純亦不已(中庸 第26).

이 되는 까닭이 아! 나타나지 않는가. 文王의 덕이 순수함이여 하고 하였으니 모두 文王이 되는 까닭은 순수하고 또한 그치지 않는 것임을 말하는 것이다.

 

7-2 子曰 默而識之 學而不厭 誨人不倦 何有於我哉

자왈 묵묵히 알고, 배우는데 싫증이 없고, 남을 가르치는데 권태를 느끼지 않는 것, 이것 말고 나에게 다른 무엇이 있겠는가.

 

識 記也. 默識 謂不言而存諸心也. 一說 識 知也 不言而心解也 前說 近是. 何有於我 言何者能有於我也. 三者 已非聖人之極至 而猶不敢當 則謙而又謙之辭也

 

은 기록하는 것이다. 묵지默識은 말하지 않고 마음속에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일설에 식은 아는 것이니 말하지 않고 마음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앞의 설이 옮음에 가깝다. 나에게 무엇이 있겠는가는 무엇이 나에게 있을 수 있겠는가를 말하는 것이다. 세 가지는 이미 성인의 지극한 경지가 아니면 오히려 감당하기 어려우므로 겸손하고 또 겸손한 말이다.

 

[本文解說]

() : 침묵하다. (, ) : ()알다, 깨우치다, ()새겨두다, 기록하다, 기억하다, () : 가르치다. () : 싫증내다. () : 게으르다.

默而識之 : 는 용언 뒤에서 용언을 부사로 만드는 접미사로 默而는 묵묵히, 다산은 內而不出로 보았다, 은 알다, 기록하다, 는 허사, 또는 보고 들은 지식이나 사람으로서의 도리.

· 이와 대비되는 표현으로 子曰 道聽而塗說 德之棄也(陽貨篇 第14).

· 小人之學也 入乎耳 出乎口(荀子 勸學篇) : 소인의 배움은 귀로 들어오고 입으로 나간다.

· : 고대에는 , , 와 통용된다

· 茶山多識前言往行 以畜其德으로 본다. :

앞의 말과 지나간 행적을 많이 기록하여 그 덕을 기른다.

學而不厭 : 好學의 다른 표현이다.

何有 : ‘무엇이 있겠는가로 겸손의 의미(주자).

· <雍也篇>於從政乎何有처럼 무슨 어려움이 있겠는가로 자부심(何足有無於我哉, 다산).

 

[集註풀이]

() : 오히려. () : 아마도, 거의().

 

[기타사항]

水洊至習坎 君子以 常德行 習敎事(周易 坎卦 象傳).

물이 거푸 이르는 것이 習坎이니 군자는 이로써 덕행을 한결같이 하고 교화하는 일을 익힌다.

學不厭 誨不倦 孔子亦曾承當之矣 只一默而識之 眞實難到 宜其直心直口說出(智旭)

배움에 질리지 않고 가르침에 게으르지 않는 것에 공자 또한 일찍이 이에 해당했다. 다만 한결같이 묵묵히 알아 진실로 도달하기가 어려우니 마땅히 마음과 입을 곧게 하여 설법을 한다.

子曰 知之者 不如好之者 好之者 不如樂之者

자왈 아는 자는 좋아하는 자만 같지 못하고 좋아하는 자는 즐기는 자만 같지 못하다.

 

尹氏曰 知之者 知有此道也. 好之者 好而未得也. 樂之者 有所得而樂之也

o 張敬夫曰 譬之五穀 知者 知其可食者也 好者 食而嗜之者也 樂者 嗜之而飽者也. 知而不能好 則是知之未至也. 好之而未及於樂 則是好之未至也. 此古之學者 所以自强而不息者與

 

尹氏가 말했다. 아는 자는 도가 있음을 아는 자이다. 좋아하는 자는 좋아하지만 아직 얻지 못한 자이다. 즐기는 자는 얻는 바가 있어서 즐기는 자이다.

o. 張敬夫가 말했다. 오곡에 비유하면 지자知者는 먹을 수 있는 가를 아는 자이고 좋아하는 자好者는 먹고서 그것을 좋아하는 자이고 락자樂者는 즐기고 만끽하는 자이다. 알고서 좋아할 줄 모르면 이는 앎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다. 좋아하되 즐기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면 이는 좋아함이 지극하지 못한 것이다. 이는 옛날의 배우는 자들이 스스로 힘써 그침이 없는 이유인 것이다.

 

[本文解說]

知之者 : 는 알다, 분별하다, 이해하려고 하다, 는 학문이나 도덕 예술 등 가치 있는 모든 것, , 는 놈.

不如好之者 : 不如~만 같지 못하다, 好之者는 좋아하는 것으로, ··이 일체단계이다.

· 不如‘~만 못하다로 해석하는 경우는 앎의 단계를 격리시키는 오류를 범함,

 

[集註풀이]

() : 즐기다.

譬之五穀 : 비유하다’, 는 앞에 나온 사실.

尹氏(윤씨) : 尹焞, 北宋 대의 학자, 程子의 문인으로 저서로 논어맹자해가 있다.

張敬夫 : 宋代 사람, 호는 南軒, 주자, 여조겸과 함께 東南三賢, 논어해를 저술.

 

[기타사항]

天行 健 君子以 自彊不息(乾卦 象傳).

하늘의 운행함이 강건하니 군자는 이로써 스스로 굳세어 쉬지 않는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