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子貢曰 有美玉於斯 韞匵而藏諸 求善賈而沽諸 子曰 沽之哉沽之哉 我 待賈者也

자공子貢이 말했다. 여기에 아름다운 옥이 있는데 상자에 넣어서 보관하시겠는지요, 아니면 좋은 가격을 구해서 팔려는 것인지요. 자왈 팔아야지, 팔아야지, 나는 값을 기다리는 사람이다.

 

韞 藏也 匵 匱也 沽 賈也. 子貢 以孔子有道不仕 故 設此二端以問也. 孔子言固當賈之 但當待賈 而不當求之耳

o 范氏曰 君子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士之待禮 猶玉之待賈也. 若伊尹之耕於野 伯夷太公之居於海濱 世無成湯文王 則終焉而已. 必不枉道而從人 衒玉而求售也

 

은 보관하는 것이고 궤는 상자이고 고는 파는 것이다. 자공子貢은 공자가 가 있음에도 벼슬하지 않으므로 이 두 개의 단서를 설정함으로써 질문한 것이다. 공자가 진실로 마땅히 팔아야하겠지만 다만 값을 기다리는 것이니, 팔리기를 구함은 부당하다고 말한 것이다.

o. 범씨范氏가 말했다. 군자가 일찍이 벼슬하려고 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또한 그 로 말마암지 않는 것을 미워한 것이니 선비가 예를 기다림은 마치 이 값을 기다리는 것과 같다. 예를 들면 이윤伊尹이 들에서 밭을 갈고 백이伯夷와 강태공太公이 바닷가에서 거처한 것은 세상에 성탕成湯과 문왕文王 같은 사람이 없으면 마칠 뿐이지, 를 굽혀서 사람을 따르거나 옥을 자랑해서 팔리기를 구함은 아닐 것이다.

 

[本文解說]

() : , 여기. () : 보관하다, 감추다. () : , 상자. () : 팔다, 사다. () : 주다, 받다. () : 빌리다, 빌려주다. (, ) : , 가격, 명성, ()장사하다, 사다, 팔다.

韞匵而藏諸 : 은 감추다, 잘 포장하다, 는 상자, 는 체증관계접속사, 은 감추다, ()之乎, 美玉.

求善賈 : 는 구하다, 善賈는 좋은 값, 달리 좋은 장사치.

沽諸 : 는 팔다, ()之乎, 美玉.

沽之哉 : 의 의미를 강조하는 조사, 는 감탄의 어기사.

待賈者也 : 는 기다리다, 는 값, 는 놈, 는 판단의 어기사.

 

[集註풀이]

() : . () : 뽐내다, 자랑하다. () : 팔다, 팔리다. () : 팔다. () : 사다. () : 주다, 팔다. () : 빌리다, 빌려주다.

終焉而已 : 은 마치다, 끝내다, 焉而已는 연용형 어조사, ‘~일 뿐이다’.

 

[기타사항]

古之人 未嘗不欲仕也 又惡不由其道 不由其道而往者 與鑽穴隙之類也(孟子 滕文公下 第3).

옛날 사람이 일찍이 벼슬을 하지 않으려고 한 것은 아니나 또한 그 를 말미암지 않음을 미워한 것이니 그 를 말미암지 않고 가는 것은 문풍지에 구멍을 뚫고 엿보는 유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