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貢 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曰 敢問其次 曰 宗族 稱孝焉 鄕黨 稱弟焉 曰 敢問其次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曰 今之從政者 何如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子貢 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 자공子貢이 여쭈었다. 어떻게 하여야 선비라 말할 수 있습니까. 자왈 처신함에 있어서 염치가 있고 사방의 나라에 사신을 가서는 군주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아야 선비라 일컬어질 수 있는 것이다. 」
[本文解說]
※ 貢(공) : 바치다. 行己(행기) : 세상살이의 몸가짐, 처신. 辱(욕) : 욕보이다.
※ 其志有所不爲 : 其, 志는 지조, 有는 있다, 所不爲는 하지 말아야 하는 것.
※ 斯可謂之士矣 : 斯는 ~하면 곧, 則과 같다. 可謂는 가히 일컫다, 之는 강조의 구조조사, 士, 矣는 의문의 어기조사
※ 行己有恥 : 行己는 처신, 有는 있다, 恥는 염치, 수치.
· 자기 행위에 염치를 가질 줄 알아서 하지 않는 일이 있다는 의미.
※ 使於四方 : 使는 사신으로 가다, 於는 ~에, 四方.
※ 不辱君命 可謂士矣 : 不辱은 욕보이지 않다, 君命, 可謂, 士, 矣는 의문의 어기사.
曰 敢問其次 曰 宗族 稱孝焉 鄕黨 稱弟焉
「 감히 그 다음에 대해 여쭙자 자왈 친척들이 효성스럽다고 말하며, 마을의 사람들이 공손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
[本文解說]
※ 弟(제) : 공손하다, 공경하다, 편안하다.
※ 稱孝焉 : 稱은 칭송하다, 孝는 효성스럽다, 焉은 之乎. 之는 일반적인 사람.
曰 敢問其次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 그 다음의 선비에 대해 여쭙자 자왈 말하면 반드시 신의가 있고, 행동하면 결실을 이루어낼 수 있다면 융통성 없는 소인답지만, 또한 그 다음의 선비는 될 수 있다. 」
[本文解說]
※ 硜(갱, 경) : 돌 소리, 소인의 모양.
※ 行必果 : 行은 행실, 必은 반드시, 果는 결실을 맺다, 과감하게 하다, (성과를)기약하다(황간).
※ 硜硜然 : 돌 부딪히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로 융통성 없고 완고하며, 깐깐한 모습.
※ 抑(억) : 그러나, 역접의 접속사
[기타사항]
※ 孟子 曰 大人者 言不必信 行不必果 惟義所在 孟子 曰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孟子 離婁下11,12章).
「 맹자왈 대인은 말에 믿음을 기필하지 않고 행함에 결과를 기필하지 않는다. 오직 義만 있을 뿐이다. 맹자왈 大人은 갓난아기의 마음을 잃지 않는 자이다. 」
※ 象曰 山下出泉 蒙 君子 以 果行育德(周易 蒙卦 象傳).
「 산 아래 샘이 나옴이 蒙이니 군자는 이로써 과감하게 행동하여 덕을 기른다. 」
曰 今之從政者 何如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 여쭙기를 오늘날 정사政事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떻습니까. 자왈 탄식하며 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들을 따지고 할 만한 게 있겠느냐. 」
[本文解說]
※ 噫(희) : 탄식하다, 강렬한 탄식의 소리. 筲(소) : 대그릇, 밥통, 평범한 사람. 算(산) : 셈하다, 따지다, 알다.
※ 斗筲之人 : 도량이 좁은 사람, 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
※ 何足算也 : 의문문으로 何는 ‘어디’, 足은 족히, 算은 셈하다, 也는 어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