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有德者 必有言 有言者 不必有德 仁者 必有勇 勇者 不必有仁

자왈 덕이 있는 사람은 언제나 훌륭한 말을 하나 말을 훌륭하게 한다고 반드시 덕이 있는 것은 아니다. 한 사람은 늘 용감하지만 용감한 사람이 반드시 한 것은 아니다.

 

[本文解說]

: 가치 있고 정직한 말.

有言者 : 훌륭한 말을 하는 사람.

 

[기타사항]

和順積中 而英華發外 唯樂 不可以爲僞(禮記 樂記).

마음이 화순하여 안에서 쌓이면 英華가 밖으로 드러나니 즐거움은 허위가 될 수 없다.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夫子不言不笑不取乎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 子曰 其然 豈其然乎

 

子問公叔文子於公明賈曰 信乎夫子不言不笑不取乎

공자가 공명가公明賈에게 공숙문자公叔文子에 대해 물으면서 정말로 공숙 부자夫子는 말하지 않고 웃지 않고 취하지 않는가 하고 했다.

 

[本文解說]

夫子 : 公叔文子.

信乎 : 정말로.

 

公明賈對曰 以告者過也 夫子時然後言 人不厭其言 樂然後笑 人不厭其笑 義然後取 人不厭其取 子曰 其然 豈其然乎

공명가公明賈가 대답해 말하기를 그렇게 고하는 자가 지나쳤습니다. 공숙 부자는 때에 적절하게 말을 하니 사람들이 그 말을 싫어하지 않고, 기쁜 연후에 웃으니 사람들이 그 미소를 싫어하지 않으며, ‘의리에 맞은 연후에 취하니 사람들이 그의 취함을 싫어하지 않는 것입니다. 자왈 그러한가, 어째서 그러한 것인가.

 

[本文解說]

() : 싫어하다. () : 심하다, 지나치다.

以告者 : 는 지시대사로 , 이것, 이렇게’.

· 다음에 그런 말을 뜻하는 가 생략된 형태로 보아 그런 말로서(언해본).

· 를 지시대사인 로 보고 이것은’(楊伯竣).

時然 : 때에 적절하다.

其言, 其笑, 其取 : 公叔文子

其然 : 어찌, 어떻게와 같다. ‘어째서 그러한가’.

豈其然乎 ; 는 어찌, 는 어세를 강하게 하는 어기사, 然乎는 그러한가.

其然 豈其然乎 : 其然이란 公明賈의 말을 듣고 그 사실을 알게 됨을 기뻐하는 것,

· 豈其然이란 앞서 들은 바가 이치가 아님을 깨닫는 것(茶山).

 

[기타사항]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 時措之宜也(中庸 第25.3).

은 스스로 자기를 이룰 뿐만 아니라 남을 이루는 것이니 자기를 이룸은 이고 남을 이룸은 이다. 이는 안과 밖를 합치는 이므로 때에 취하는 조치의 마땅함이다.

孟子 曰 子路 人 告之以有過則喜 禹 聞善言則拜 大舜 有大焉 善與人同 舍己從人 樂取於人 以爲善 自耕稼陶漁 以至爲帝 無非取於人者 取諸人以爲善 是 與人爲善者也 故 君子 莫大乎與人爲善(孟子 公孫丑上 第8).

맹자왈 子路는 사람들이 허물이 있다고 알려주면 기뻐했으며, 임금은 선한 말을 들으면 예배했으며, 大舜은 이보다 더 위대함이 있으니 사람들과 더불어 을 같이 행하고 자기를 버리고 남을 따르며 남에게서 취하여 으로 함을 즐거움으로 여겼다. 스스로 농사짓고 질그릇을 굽고 물고기를 잡고서 帝位에 이르기까지 남에게서 취한 것이 아님이 없었다. 이는 사람에게서 취하는 것을 으로 여긴 것이니 사람들과 더불어 을 행한 것이다. 그러므로 군자에게 남들과 더불어 선을 하는 것보다 더 큰 것이 있겠는가.

 

子貢 問曰 鄕人 皆好之 何如 子曰 未可也 鄕人 皆惡之 何如 子曰 未可也 不如鄕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

자공子貢이 여쭙기를 향인鄕人이 모두 좋아하면 어떻습니까. 자왈 가하지 못하다. 다시 자공이 향인이 모두 그를 미워하면 어떻습니까 하고 여쭙자 자왈 아직 가하지 못하다. 향인 중에 선한 자가 좋아하고 불선不善한 자가 미워함만 같지 못하다.

 

[本文解說]

鄕人(향인) : 마을 사람. () : 미워하다

好之 : 는 좋아하다, 는 일반적인 사람, 인칭대사.

不如(鄕人之善者好之 其不善者惡之) : 不如~같지 않다, 鄕人之善者, 好之, 鄕人, 不善者, 는 미워하다, 는 일반적인 사람, 인칭대사.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有德者덕이 있는 자  (0) 2020.06.23
其然 그러한가  (0) 2020.06.23
斗筲之人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  (0) 2020.06.22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하게 하다  (0) 2020.06.20
問友친구에 대해 여쭈다  (0) 2020.06.19

子貢 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曰 敢問其次 曰 宗族 稱孝焉 鄕黨 稱弟焉 曰 敢問其次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曰 今之從政者 何如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子貢 問曰 何如 斯可謂之士矣 子曰 行己有恥 使於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자공子貢이 여쭈었다. 어떻게 하여야 선비라 말할 수 있습니까. 자왈 처신함에 있어서 염치가 있고 사방의 나라에 사신을 가서는 군주의 명령을 욕되게 하지 않아야 선비라 일컬어질 수 있는 것이다.

 

[本文解說]

() : 바치다. 行己(행기) : 세상살이의 몸가짐, 처신. () : 욕보이다.

其志有所不爲 : , 는 지조, 는 있다, 所不爲는 하지 말아야 하는 것.

斯可謂之士矣 : ~하면 곧, 과 같다. 可謂는 가히 일컫다, 는 강조의 구조조사, , 는 의문의 어기조사

行己有恥 : 行己는 처신, 는 있다, 는 염치, 수치.

· 자기 행위에 염치를 가질 줄 알아서 하지 않는 일이 있다는 의미.

使於四方 : 使는 사신으로 가다, ~, 四方.

不辱君命 可謂士矣 : 不辱은 욕보이지 않다, 君命, 可謂, , 는 의문의 어기사.

 

曰 敢問其次 曰 宗族 稱孝焉 鄕黨 稱弟焉

감히 그 다음에 대해 여쭙자 자왈 친척들이 효성스럽다고 말하며, 마을의 사람들이 공손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本文解說]

() : 공손하다, 공경하다, 편안하다.

稱孝焉 : 은 칭송하다, 는 효성스럽다, 之乎. 는 일반적인 사람.

 

曰 敢問其次 曰 言必信 行必果 硜硜然小人哉 抑亦可以爲次矣

「 그 다음의 선비에 대해 여쭙자 자왈 말하면 반드시 신의가 있고, 행동하면 결실을 이루어낼 수 있다면 융통성 없는 소인답지만, 또한 그 다음의 선비는 될 수 있다.

 

[本文解說]

(, ) : 돌 소리, 소인의 모양.

行必果 : 은 행실, 은 반드시, 는 결실을 맺다, 과감하게 하다, (성과를)기약하다(황간).

硜硜然 : 돌 부딪히는 소리를 나타내는 말로 융통성 없고 완고하며, 깐깐한 모습.

() : 그러나, 역접의 접속사

 

[기타사항]

孟子 曰 大人者 言不必信 行不必果 惟義所在 孟子 曰 大人者 不失其赤子之心者也(孟子 離婁下11,12).

맹자왈 대인은 말에 믿음을 기필하지 않고 행함에 결과를 기필하지 않는다. 오직 만 있을 뿐이다. 맹자왈 大人은 갓난아기의 마음을 잃지 않는 자이다.

象曰 山下出泉 蒙 君子 以 果行育德(周易 蒙卦 象傳).

산 아래 샘이 나옴이 이니 군자는 이로써 과감하게 행동하여 덕을 기른다.

 

曰 今之從政者 何如 子曰 噫 斗筲之人 何足算也

여쭙기를 오늘날 정사政事에 종사하는 자들은 어떻습니까. 자왈 탄식하며 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들을 따지고 할 만한 게 있겠느냐.

 

[本文解說]

() : 탄식하다, 강렬한 탄식의 소리. () : 대그릇, 밥통, 평범한 사람. () : 셈하다, 따지다, 알다.

斗筲之人 : 도량이 좁은 사람, 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

何足算也 : 의문문으로 어디’, 은 족히, 은 셈하다, 는 어조사.

 

 

定公 問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爲君難 爲臣不易 如知爲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曰 一言而喪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 唯其言而莫予違也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善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定公 問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정공이 묻기를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하게 할 수 있는 말이 있느냐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말은 이와 같이 기약할 수 없습니다.

 

[本文解說]

() : 기약하다.

: 之乎, 一言而可以興邦.

言不可以若是其幾也 : , 不可은 불가하다. ~로써, 若是는 이와 같다, 一言, 는 가깝다, 기약하다, 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조사.

 

人之言曰 爲君難 爲臣不易

사람들이 하는 말에 임금답기가 어렵고 신하답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 있습니다.

 

[本文解說]

爲君難 : ~하다, 은 임금답다, 임금 노릇하다, 은 어렵다.

 

如知爲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만약 임금답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면 이 한마디 말로 나라를 흥기시키는 것을 기약하는 것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本文解說]

如知(爲君之難也) : 는 가정의 접속사, 는 알다, 爲君은 임금노릇 하다, 는 주격조사, 은 어렵다, 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조사.

不幾(乎一言而興邦): 不幾 ~ : ~에 가깝지 않겠는가, 乎一言은 한 마디의 말로, , 興邦은 나라를 흥하게 하다.

 

[기타사항]

不敢暴虎 不敢馮河 人知其一 莫知其他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氷(詩經 小雅 小旻).

감히 호랑이를 맨손으로 치거나 하천을 걸어서 건너지 않는다. 사람이 그 하나를 알 수 있어도 그 밖은 알 수 없으니, 전전긍긍하고 마치 깊은 못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한다.

 

曰 一言而喪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 唯其言而莫予違也

定公이 말하기를 한마디 말로 나라를 잃게 할 수 있습니까 하니 공자가 대답하였다. 말은 이같이 기약할 수 없지만 사람이 하는 말 중에 나는 임금 노릇하기가 즐겁지 않고 오직 내가 말하면 아무도 나를 어기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本文解說]

言不可以若是其幾也 : 은 말, 不可은 불가하다, 以若是은 이같이 해서, 는 그, 는 기약하다, 는 어조사.

唯其言 : 는 오직, 는 일반화된 자기 자신으로 君主, 은 동사로 말하다’.

予無樂乎爲君 : , 無樂은 즐겁지 않다, 는 감탄 어기사, 爲君은 임금노릇하다.

· 달리 를 비교격 조사로 보아 ‘~보다’,

莫予違也 : 莫違予也의 도치. 아무도 ~하지 않다’, ’, 거슬리다’, 는 어조사.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善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만약 군주의 말이 하다면 어기지 않는 것이 그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만약 그 말이 하지 못한데도 어기지 않는다면 그것이 한마디 말로 나라를 잃는다고 기약하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本文解說]

如其善 : 는 만약, 는 군주, 은 선하다.

不亦善乎 : ‘또한 좋지 않겠느냐’. 는 감탄의 어조사.

 

[기타사항]

夫苟不好善 則人將曰 訑訑 予 旣已知之矣 訑訑之聲音顔色 距人於千里之外 士 止於千里之外 則讒諂面諛之人 至矣 與讒諂面諛之人 居 國欲治 可得乎(孟子 告子下 第13).

진실로 을 좋아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장차 말하기를 그대가 으쓱거리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할 것이다. 으쓱거리는 음성과 안색은 사람을 千里 밖에서도 멈추게 한다. 선비가 천리 밖에서 그치게 되면 아첨하고 알랑거리는 사람이 이르게 된다. 이런 사람들이 자리를 잡으면 이들과 더불어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더라도 다스림을 얻을 수 있겠는가.

 

子貢 問友 子曰 忠告而善道之 不可則止 無自辱焉

자공子貢이 친구에 대해 여쭈었다. 자왈 그를 충고해서 잘 이끌어주되 따르지 않으면 충고하기를 그쳐야 스스로 욕됨이 없게 된다.

 

[本文解說]

() : 욕되게 하다.

忠告而善道之 : 은 부사로 진심으로’, 는 고하다, , 은 부사로 ’, 이끌다(). .

無自辱焉 : 와 같다. 는 스스로, 은 욕되다, 은 어조사.

 

[기타사항]

우정을 나누는 올바른 방법은 친구의 잘못을 바로잡아 선으로 옮기는 것이다(規過遷善).

 

 

24. 曾子曰 君子 以文會友 以友輔仁

증자曾子가 말했다. 군자는 문으로서 벗을 만나고 벗에 의하여 인을 행하도록 도움을 받는다.

 

[本文解說]

: 수단, 방법의 어기조사. () : 만나다, 사귀다.

() : 북돋아서 이루도록 돕다.

· 友相切磋之道 所以輔成己之仁(하안).

친구의 사귐은 학문을 닦는 도를 도와서 자기의 을 이루도록 돕는 것이다.

: , , , .

· 友以文德合(공안국).

: , , , .

以友輔仁 : 以友은 친구로서, 는 돕는다, .

 

 

子曰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자왈 송사訟事를 다스리는 것이라면 나는 사람들과 같으나 반드시 송사를 없도록 할 것이다.

 

[本文解說]

() : 듣다, 판결하다, 결정하다, 다스리다. () : 송사하다, 송사.

吾猶人也 : , ~와 같다, , 는 음절조정 어기사.

必也使無訟乎 : 必也반드시’, 는 음절 조정 어기사, 使는 뒤에 이 생략, 은 송사하다, 는 단정의 어조사.

 

[集註풀이]

() : 다스리다. (, ) : ()막히다, 막다, ()요새. () : 겸손하다, 겸손.

不知以禮遜爲國 : 不知는 알지 못하다, ~로써, 禮遜은 예와 겸손, 는 다스리다, .

 

[기타사항]

天與水違行 訟 君子 以 作事謀始(周易 訟卦 象傳).

하늘과 사물이 어긋나는 것이 이니 군자는 써 일을 만들어 시작을 도모한다.

聽訟 吾猶人也 必也使無訟乎 無情者 不得盡其辭 大畏民志 此謂知本(大學 第4.1).

을 듣는 것은 내가 남들과 같으나 반드시 송사가 없게 할 것이다. 實情이 없는 자가 말을 다 하지 못하는 것은 백성의 뜻을 크게 두려워하는 것이니, 이를 근본을 아는 것이라 말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