顔淵 問仁 子曰 克己復禮 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顔淵 問仁 子曰 克己復禮 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 안연顔淵이 인仁에 대해 물었다. 子曰 자기의 사사로움을 극복해서 예禮로 돌아감이 인仁이다. 하루라도 극기복례克己復禮하면 천하가 인仁을 인정하니 인仁은 자기로 말미암는 것이지 남에게서 비롯되는 것이겠는가. 」
[本文解說]
※ 與(여) : 허여하다, 인정하다, 참여하다. 復(복) : 회복하다, 돌아가다, 이행하다. 歸(귀) : 귀의하다, 인정하다, 허여하다,
※ 克己 : 克은 이기다, (사욕을)이기다, 끊다, 己는 자기.
※ 爲仁 : 爲는 ~이다, 행하다, 실천하다, 되다, 仁.
※ 天下歸仁焉 : 天下, 歸는 허여하다, 仁, 焉은 於是, 是는 克己復禮한 사람.
※ 爲仁由己 : 爲는 행하다, 仁, 由는 ~에 달려있다, 己는 자기.
※ 乎哉 : 감탄의 어기사.
[기타사항]
※ 初九 素履 往 无咎 象曰 素履之往 獨行願也(周易 履卦 初九).
「 初九는 본디 신은 그대로 나아가면 허물이 없다. 象曰 그대로 나아간다는 것은 홀로 원하는 바를 행하는 것이다. 」
※ 雷在天上 大壯 君子以 非禮弗履(周易 大壯卦 象傳).
「 大壯卦 象傳에 우레가 하늘 위에 있고 크게 장하니 군자는 이로써 禮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
※ 孟子 曰 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 不可勝用也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 不可勝用也(盡心下 第31).
「 맹자왈 사람은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바가 있으니 그 참는 바에서 통달함이 仁이고 사람은 모두 하지 못하는 바가 있으니 그 하는 바에 통달함이 義이며 사람이 진실로 남을 해치려는 마음이 없으면 仁은 이루 다 쓸 수가 없다. 사람에게 정말 뚫고 건너뛰는 마음이 없으면 義를 이루 다 쓸 수가 없게 된다. 」
※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 時措之宜也(中庸 第25章 3節).
「 誠은 스스로 자기를 이루어 그치는 것이 아니라 物을 이루는 것이다. 자기를 이룸은 仁이고 物을 이룸은 知로 性의 德이니 內外를 합친 道이다. 고로 때의 형편에 맞는 마땅함이다. 」
※ 克己 : 공자는 顔子에게만 극기를 말하고 있다. 다른 제자에게는 正心, 誠意, 修身정도만 말했다. 克己는 나의 아집을 깨부수어 明德을 회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 안연顏淵이 청하여 그 세목을 여쭈었다. 子曰 예禮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예禮가 아니면 듣지를 말고, 예禮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예禮가 아니면 행동하지 말라. 안연顏淵이 말했다. 저가 비록 영민하지 못하나 이 말씀을 따르겠습니다. 」
[本文解說]
※ 勿 : 부사로 ‘~하지마라’. 敏(민) : 총명하다. 目(목) : 항목.
※ 請事斯語矣 : 請은 부사로 청컨대, 달리 의지를 표현하는 조동사, 事는 섬기다, 힘쓰다, 노력하다, 斯는 이, 語는 말, 矣는 단정의 어기사.
※ 非禮勿動 :
· 齊明盛服 非禮不動 所以修身也(中庸 20.14章).
「 재계하고 깨끗이 하며 잘 차려 입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수신하는 것이다. 」
[기타사항]
※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 其道光明(周易 艮卦 彖傳).
「 艮卦 彖傳에 艮은 그침이니 그칠 때면 그치고 행할 때면 행하고 동정에 그 때를 잃지 않으니 그 도가 광명하다. 」
※ 孟子曰 堯舜 性者也 湯武 反之也 動容周旋 中禮者 盛德之至也(孟子 盡心下第33).
「 맹자왈 요순은 성품대로 하였고 탕무는 성품을 회복하였다. 동작의 모습과 진퇴가 禮에 맞는 것은 성대한 덕의 지극함이다. 」
※ 好惡無節於內 知誘於外 不能反躬 天理滅矣 夫物之感人無窮 而人之好惡無節 則是物至而人化物也(禮記 樂記篇).
「 안에서 好·惡에 절제가 없고 知가 유혹되어 物과 동화되고, 몸을 돌이킬 줄 모르면 天理가 없어지게 된다. 저 物이 사람을 느끼게 함은 무궁하므로 사람이 좋아함과 싫어함에 절도가 없으면, 이는 物이 이르면 物과 동화되는 것을 말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