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 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 反是

자왈 군자는 사람들의 좋은 점을 이루게 하지 사람들의 나쁜 점을 이루게 하지 않는다. 소인은 이와 반대다.

 

[本文解說]

() : 좋은 점, 아름다움. () : 나쁜 점, 추함으로 의 짝으로 읽는다, 추한 면.

· 의 반대는 不善. 의 반대는 ().

() : 부족한 것을 보완해서 이루게 하다.

反是 : 는 반대로 하다, 는 앞에 나온 사실.

 

[기타사항]

哀公曰 善哉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微孔子吾焉得聞斯言哉(說苑 君道).

哀公이 말했다. 착하구나, 군자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이루게 하지 사람들의 추함을 이루게 하지 않는다. 공자가 없다면 나는 어디서 이런 말을 들을 수 있겠는가.

 

 

顔淵 問仁 子曰 克己復禮 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顔淵 問仁 子曰 克己復禮 爲仁 一日克己復禮 天下歸仁焉 爲仁由己 而由人乎哉

안연顔淵이 인에 대해 물었다. 子曰 자기의 사사로움을 극복해서 예로 돌아감이 인이다. 하루라도 극기복례克己復禮하면 천하가 인을 인정하니 인은 자기로 말미암는 것이지 남에게서 비롯되는 것이겠는가.

 

[本文解說]

() : 허여하다, 인정하다, 참여하다. () : 회복하다, 돌아가다, 이행하다. () : 귀의하다, 인정하다, 허여하다,

克己 : 은 이기다, (사욕을)이기다, 끊다, 는 자기.

爲仁 : ~이다, 행하다, 실천하다, 되다, .

天下歸仁焉 : 天下, 는 허여하다, , 於是, 克己復禮한 사람.

爲仁由己 : 는 행하다, , ~에 달려있다, 는 자기.

乎哉 : 감탄의 어기사.

 

[기타사항]

初九 素履 往 无咎 象曰 素履之往 獨行願也(周易 履卦 初九).

初九본디 신은 그대로 나아가면 허물이 없다. 象曰 그대로 나아간다는 것은 홀로 원하는 바를 행하는 것이다.

雷在天上 大壯 君子以 非禮弗履(周易 大壯卦 象傳).

大壯卦 象傳에 우레가 하늘 위에 있고 크게 장하니 군자는 이로써 가 아니면 행하지 않는다.

孟子 曰 人皆有所不忍 達之於其所忍 仁也 人皆有所不爲 達之於其所爲 義也 人能充無欲害人之心 而仁 不可勝用也 人能充無穿踰之心 而義 不可勝用也(盡心下 第31).

맹자왈 사람은 모두 차마 하지 못하는 바가 있으니 그 참는 바에서 통달함이 이고 사람은 모두 하지 못하는 바가 있으니 그 하는 바에 통달함이 이며 사람이 진실로 남을 해치려는 마음이 없으면 은 이루 다 쓸 수가 없다. 사람에게 정말 뚫고 건너뛰는 마음이 없으면 를 이루 다 쓸 수가 없게 된다.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 時措之宜也(中庸 第253).

은 스스로 자기를 이루어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을 이루는 것이다. 자기를 이룸은 이고 을 이룸은 이니 內外를 합친 이다. 고로 때의 형편에 맞는 마땅함이다.

克己 : 공자는 顔子에게만 극기를 말하고 있다. 다른 제자에게는 正心, 誠意, 修身정도만 말했다. 克己는 나의 아집을 깨부수어 明德을 회복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顔淵曰 請問其目 子曰 非禮勿視 非禮勿聽 非禮勿言 非禮勿動 顔淵曰 回雖不敏 請事斯語矣

안연顏淵이 청하여 그 세목을 여쭈었다. 子曰 가 아니면 보지를 말고, 가 아니면 듣지를 말고, 가 아니면 말하지 말고, 가 아니면 행동하지 말라. 안연顏淵이 말했다. 저가 비록 영민하지 못하나 이 말씀을 따르겠습니다.

 

[本文解說]

: 부사로 ‘~하지마라’. () : 총명하다. () : 항목.

請事斯語矣 : 은 부사로 청컨대, 달리 의지를 표현하는 조동사, 는 섬기다, 힘쓰다, 노력하다, 는 이, 는 말, 는 단정의 어기사.

非禮勿動 :

· 齊明盛服 非禮不動 所以修身也(中庸 20.14).

재계하고 깨끗이 하며 잘 차려 입고 예가 아니면 움직이지 않는 것이 수신하는 것이다.

 

[기타사항]

艮 止也 時止則止 時行則行 動靜不失其時 其道光明(周易 艮卦 彖傳).

艮卦 彖傳은 그침이니 그칠 때면 그치고 행할 때면 행하고 동정에 그 때를 잃지 않으니 그 도가 광명하다.

孟子曰 堯舜 性者也 湯武 反之也 動容周旋 中禮者 盛德之至也(孟子 盡心下第33).

맹자왈 요순은 성품대로 하였고 탕무는 성품을 회복하였다. 동작의 모습과 진퇴가 에 맞는 것은 성대한 덕의 지극함이다.

好惡無節於內 知誘於外 不能反躬 天理滅矣 夫物之感人無窮 而人之好惡無節 則是物至而人化物也(禮記 樂記篇).

안에서 ·에 절제가 없고 가 유혹되어 과 동화되고, 몸을 돌이킬 줄 모르면 天理가 없어지게 된다. 이 사람을 느끼게 함은 무궁하므로 사람이 좋아함과 싫어함에 절도가 없으면, 이는 이 이르면 과 동화되는 것을 말한다.

 

 

 

廐焚 子退朝曰 傷人乎 不問馬

마구간이 불탔다. 공자가 조회에서 물러나서 사람이 다쳤느냐 하고 물었지 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았다.

 

[本文解說]

() : 마구간. () : 불타다.

 

 

康子饋藥 拜而受之曰 丘未達 不敢嘗

계강자季康子가 약을 보내주니 절하고 받으면서 말하기를 구가 약의 성질에 대해 알지 못하므로 감히 먹지 못하겠습니다.

 

[本文解說]

() : 음식이나 물건을 보내다. () : 통달하다, 깨닫다, 알다.

: 먹다, 맛보다. 사의를 표하는 외에 맛을 봄으로써 예의를 표시하였다.

丘未達 : 는 공자, 未達은 알지 못하다.

· 약의 효험에 대해 모르다, 그 약의 약리를 모르다, 질병을 조심하다.

 

[기타사항]

陽貨欲見孔子 孔子不見 歸孔子豚 孔子時其亡也而往拜之 遇諸塗(陽貨篇 第1.1).

공자가 만년에 노나라로 돌아온 후 심한 질환에 걸렸을 때 노나라의 실권자인 季康子가 약을 보내왔을 때 있었던 일로 추정된다.

 

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자왈 더불어 같이 배울 수 있으나 함께 도에 나아갈 수 없고 더불어 에 나아갈 수 있으나 함께 설 수 없으며, 더불어 설 수 있으나 권력을 함께할 수 없다.

 

[本文解說]

() : 함께하다, 함께. () : 가다, 이르다. () : 서다, 세우다. () : 저울질하다, 권도를 행하다.

可與 : 다음에 대사 목적어 가 생략. 는 일반적인 사람.

與適道 : 다음에 대사 목적어 가 생략된 형태로 보고 길을 함께 가다,

: 세우다, 가 있다.

: 권도를 행하다. 일의 경중을 재어보고 를 살펴서 이치에 맞도록 취사선택하여 결정한다는 듯. 본래는 이라 불렀다, 방편, 융통성.

· 權 反經合道 : 권도는 경도를 돌이켜 도에 합치게 한다.

· 權者 聖人之(蠶室 陳氏) : 권도는 성인이 일을 마치는 것이다.

· 權者 反於經 然後有善者也(春秋 公羊傳 桓公 11) : 權道經道를 돌이킨 연후에 이 있는 것이다.

 

[기타사항]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 時措之宜也(中庸 第25.3).

은 스스로 자기만을 이루는 것은 아니니 남을 이루는 까닭이 된다. 자기를 이룸은 이고 남을 이룸은 . 은 내외의 도를 합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때에 맞는 조치의 마땅함이다.

男女授受不親 禮與 孟子曰 禮也 嫂溺則援之以手乎 權也(孟子 離婁上 第17).

남녀가 주고받음에 가까이하지 않는 것이 입니까. 孟子曰 禮. 형수가 물에 빠져서 손으로 도와주는 것은 이다.

 

 

子曰 知者不惑 仁者不憂 勇者不懼

자왈 지혜로운 사람知者는 미혹되지 않고, 인자仁者는 근심하지 않고, 용감한 사람勇者은 두려워하지 않는다.

 

[本文解說]

() : 미혹하다. () : 근심하다. () : 두려워하다.

() : 논어에서 자는 118차례 나오는데, 그 뜻은 크게 4가지로 구분된다.

알다 전문적인 지식 분별력 있음, 지혜로움 인정해주고 인정받다.

知者 : 는 지혜롭다, 는 가정어기의 어조사.

 

[기타사항]

 

其爲氣也 至大至剛 以直養而無害 則塞于天地之間 其爲氣也 配義與道 無是 餒也(孟子 公孫丑上 第2).

란 지극히 크고 지극히 강하여 곧음으로써 길러 해침이 없으면 천지의 사이를 꽉 채우는 것이다. 됨이 와 더불어 짝하니 이것이 없으면 浩然之氣가 부족하게 된다.

 

子曰 後生 可畏 焉知來者之不如今也 四十五十而無聞焉 斯亦不足畏也已

자왈 후배는 두려워할 만하니 어찌 후배들의 장래가 지금 나만큼 못하겠는가. 나이가 사십, 오십이 되어도 이름이 알려지지 않는 자라면 이 또한 두려워할 만한 사람이 되지 못한다.

 

[本文解說]

() : 두려워하다, 어렵게 여기다. () : 명성, 명망, 식견 있는 사람.

後生(후생) : 후배, 顏淵을 가리킨다는 주장도 있다.

焉知來者之不如今也 : 焉知는 의문문으로 은 어찌 알겠느냐, 來者, 는 주격조사, 不如~만 못하다, 은 지금, 는 어조사.

· 來者 : 장래, 후배들의 장래, ‘뒤에 오는 자라는 해석은 타당하지 않다.

· 如今 : 如今, 보통 我之今日로 공자 스스로를 지칭하거나 今日之成人으로 공자 당시의 성년으로 풀이한다. 후생과 현재의 사람들을 비교한 것이 아니다.

而無聞焉 : 는 역접관계 접속사, 는 없다, 은 세상에 이름이 나다. 은 음절조절 어기조사.

: ‘그러면’, 四十五十而無聞.

 

 

子曰 苗而不秀者 有矣夫 秀而不實者 有矣夫

자왈 싹이 나고도 꽃이 피지 못할 수가 있고 꽃이 피고도 열매를 맺지 못하는 수가 있다.

 

[本文解說]

() : . () : 꽃피다, 꽃이 피고 열매를 맺지 않다.

苗而 : 는 싹이 나다, 는 역접관계 접속사.

有矣夫 : 는 있다, 矣夫는 감탄의 어기사, 이러한 사실(정황)이 있다.

不實者 : 不實는 열매를 맺지 못하다.

 

[기타사항]

九五 枯楊 生華 老婦得其士夫 无咎 无譽 象曰 枯楊生華 何可久也 老婦士夫亦可醜也(周易 大過卦 九五爻).

九五는 마른 버드나무에서 꽃이 피어나며 늙은 여자가 젊은 사내를 얻어도 허물은 없지만 명예는 없다. 象曰 마른 나무에서 핀 꽃이 어찌 오래 가겠는가. 늙은 여자와 사내 또한 추하다.

이 문장은 끝까지 노력해야 한다’, 顔回는 속이 꽉 찬 싹이었지만 꽃을 피우지 못하고 지고 말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知者不惑  (0) 2020.06.12
後生 可畏후배는 두려워할 만하다  (0) 2020.06.11
산을 만드는 것의 비유  (0) 2020.06.10
各得其所각각 그 있을 바를 얻다  (0) 2020.06.10
興於詩시에 의해 흥기하고  (0) 2020.06.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