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可與共學 未可與適道 可與適道 未可與立 可與立 未可與權

자왈 더불어 같이 배울 수 있으나 함께 도에 나아갈 수 없고 더불어 에 나아갈 수 있으나 함께 설 수 없으며, 더불어 설 수 있으나 권력을 함께할 수 없다.

 

[本文解說]

() : 함께하다, 함께. () : 가다, 이르다. () : 서다, 세우다. () : 저울질하다, 권도를 행하다.

可與 : 다음에 대사 목적어 가 생략. 는 일반적인 사람.

與適道 : 다음에 대사 목적어 가 생략된 형태로 보고 길을 함께 가다,

: 세우다, 가 있다.

: 권도를 행하다. 일의 경중을 재어보고 를 살펴서 이치에 맞도록 취사선택하여 결정한다는 듯. 본래는 이라 불렀다, 방편, 융통성.

· 權 反經合道 : 권도는 경도를 돌이켜 도에 합치게 한다.

· 權者 聖人之(蠶室 陳氏) : 권도는 성인이 일을 마치는 것이다.

· 權者 反於經 然後有善者也(春秋 公羊傳 桓公 11) : 權道經道를 돌이킨 연후에 이 있는 것이다.

 

[기타사항]

誠者 非自成己而已也 所以成物也 成己 仁也 成物 知也 性之德也 合內外之道也 故 時措之宜也(中庸 第25.3).

은 스스로 자기만을 이루는 것은 아니니 남을 이루는 까닭이 된다. 자기를 이룸은 이고 남을 이룸은 . 은 내외의 도를 합치는 것이다. 그러므로 때에 맞는 조치의 마땅함이다.

男女授受不親 禮與 孟子曰 禮也 嫂溺則援之以手乎 權也(孟子 離婁上 第17).

남녀가 주고받음에 가까이하지 않는 것이 입니까. 孟子曰 禮. 형수가 물에 빠져서 손으로 도와주는 것은 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