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君子 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小人 反是
「 자왈 군자는 사람들의 ‘좋은 점美’을 이루게 하지 사람들의 ‘나쁜 점惡’을 이루게 하지 않는다. 소인은 이와 반대다. 」
[本文解說]
※ 美(미) : 좋은 점, 아름다움. 惡(오) : 나쁜 점, 추함으로 美의 짝으로 읽는다, 추한 면.
· 善의 반대는 不善. 美의 반대는 惡(오).
※ 成(성) : 부족한 것을 보완해서 이루게 하다.
※ 反是 : 反는 반대로 하다, 是는 앞에 나온 사실.
[기타사항]
※ 哀公曰 善哉 君子成人之美 不成人之惡 微孔子吾焉得聞斯言哉(說苑 君道).
「 哀公이 말했다. 착하구나, 군자는 사람들의 아름다움을 이루게 하지 사람들의 추함惡을 이루게 하지 않는다. 공자가 없다면 나는 어디서 이런 말을 들을 수 있겠는가. 」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以文會友글로서 벗을 사귀다 (0) | 2020.06.19 |
---|---|
聽訟송사를 다스리다 (0) | 2020.06.18 |
克己復禮자기의 사사로움을 극복해서 예禮로 돌아가다 (0) | 2020.06.17 |
不問馬말에 대해서는 묻지 않다 (0) | 2020.06.16 |
康子饋藥계강자가 약을 보내주다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