定公 問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爲君難 爲臣不易 如知爲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曰 一言而喪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 唯其言而莫予違也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善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定公 問 一言而可以興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 정공이 묻기를 한 마디 말로 나라를 흥하게 할 수 있는 말이 있느냐고 하자 공자가 대답하기를 말은 이와 같이 기약할 수 없습니다. 」
[本文解說]
※ 幾(기) : 기약하다.
※ 諸 : 之乎, 之는 一言而可以興邦.
※ 言不可以若是其幾也 : 言, 不可은 불가하다. 以는 ~로써, 若是는 이와 같다, 其는 一言, 幾는 가깝다, 기약하다, 也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조사.
人之言曰 爲君難 爲臣不易
「 사람들이 하는 말에 임금답기가 어렵고 신하답기가 쉽지 않다는 말이 있습니다. 」
[本文解說]
※ 爲君難 : 爲은 ~하다, 君은 임금답다, 임금 노릇하다, 難은 어렵다.
如知爲君之難也 不幾乎一言而興邦乎
「 만약 임금답기가 어렵다는 것을 알면 이 한마디 말로 나라를 흥기시키는 것을 기약하는 것에 가깝지 않겠습니까. 」
[本文解說]
※ 如知(爲君之難也) : 如는 가정의 접속사, 知는 알다, 爲君은 임금노릇 하다, 之는 주격조사, 難은 어렵다, 也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조사.
※ 不幾(乎一言而興邦)乎 : 不幾 ~ 乎 : ~에 가깝지 않겠는가, 乎一言은 한 마디의 말로, 而, 興邦은 나라를 흥하게 하다.
[기타사항]
※ 不敢暴虎 不敢馮河 人知其一 莫知其他 戰戰兢兢 如臨深淵 如履薄氷(詩經 小雅 小旻).
「 감히 호랑이를 맨손으로 치거나 하천을 걸어서 건너지 않는다. 사람이 그 하나를 알 수 있어도 그 밖은 알 수 없으니, 전전긍긍하고 마치 깊은 못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는 듯이 한다. 」
曰 一言而喪邦 有諸 孔子對曰 言不可以若是其幾也 人之言曰 予無樂乎爲君 唯其言而莫予違也
「 定公이 말하기를 한마디 말로 나라를 잃게 할 수 있습니까 하니 공자가 대답하였다. 말은 이같이 기약할 수 없지만 사람이 하는 말 중에 나는 임금 노릇하기가 즐겁지 않고 오직 내가 말하면 아무도 나를 어기지 않는다는 말이 있습니다. 」
[本文解說]
※ 言不可以若是其幾也 : 言은 말, 不可은 불가하다, 以若是은 이같이 해서, 其는 그, 幾는 기약하다, 也는 어조사.
※ 唯其言 : 唯는 오직, 其는 일반화된 자기 자신으로 君主, 言은 동사로 ‘말하다’.
※ 予無樂乎爲君 : 予, 無樂은 즐겁지 않다, 乎는 감탄 어기사, 爲君은 임금노릇하다.
· 달리 乎를 비교격 조사로 보아 ‘~보다’,
※ 莫予違也 : 莫違予也의 도치. 莫은 ‘아무도 ~하지 않다’, 予는 ‘나’, 違는 ‘거슬리다’, 也는 어조사.
如其善而莫之違也 不亦善乎 如不善而莫之違也 不幾乎一言而喪邦乎
「 만약 군주의 말이 善하다면 어기지 않는 것이 그 또한 좋지 않겠습니까. 만약 그 말이 善하지 못한데도 어기지 않는다면 그것이 한마디 말로 나라를 잃는다고 기약하는 일이 아니겠습니까. 」
[本文解說]
※ 如其善 : 如는 만약, 其는 군주, 善은 선하다.
※ 不亦善乎 : ‘또한 좋지 않겠느냐’. 乎는 감탄의 어조사.
[기타사항]
※ 夫苟不好善 則人將曰 訑訑 予 旣已知之矣 訑訑之聲音顔色 距人於千里之外 士 止於千里之外 則讒諂面諛之人 至矣 與讒諂面諛之人 居 國欲治 可得乎(孟子 告子下 第13).
「 진실로 善을 좋아하지 않으면 사람들이 장차 말하기를 그대가 으쓱거리는 것을 이미 알고 있다고 할 것이다. 으쓱거리는 음성과 안색은 사람을 千里 밖에서도 멈추게 한다. 선비가 천리 밖에서 그치게 되면 아첨하고 알랑거리는 사람이 이르게 된다. 이런 사람들이 자리를 잡으면 이들과 더불어 나라를 다스리고자 하더라도 다스림을 얻을 수 있겠는가. 」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鄕人 皆好之마을 사람이 모두 좋아하는 사람 (0) | 2020.06.22 |
---|---|
斗筲之人밥줄 때문에 일하는 사람 (0) | 2020.06.22 |
問友친구에 대해 여쭈다 (0) | 2020.06.19 |
以文會友글로서 벗을 사귀다 (0) | 2020.06.19 |
聽訟송사를 다스리다 (0) | 2020.0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