孔子曰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小人 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 侮聖人之言

 

孔子曰 君子有三畏 畏天命 畏大人 畏聖人之言

공자왈 군자는 세 가지 두려워해야 하는 것이 있으니, 天命을 두려워하고 大人을 경외하며 聖人의 말을 경외해야 한다.

 

[本文解說]

() : 두려워하다, 경외하다.

 

[기타사항]

夫大人者 與天地合其德 與日月合其明 與四時合其序 與鬼神合其吉凶 先天而天弗違 後天而奉天時 天且弗違 而況於人乎 況於鬼神乎 知進退存亡而不失其正者 其唯聖人乎(周易 乾卦 文言傳).

大人은 천지와 더불어 덕을 합하고 日月과 더불어 밝음을 합하며 四時와 더불어 그 차례를 합하며 귀신과 더불어 길흉을 합한다. 하늘보다 먼저 해도 하늘을 어기지 않고 하늘보다 뒤에 해도 하늘의 때를 봉양하니 하늘도 또한 어기지 않거늘 하물며 사람에게서 귀신에게서 이겠는가. 진퇴·존망을 알고서 그 올바름을 잃지 않는 자는 오직 聖人일 것이다.

天命之謂性 率性之謂道 修道之謂敎 道也者 不可須臾離也 可離 非道也 是故 君子 戒愼乎其所不睹 恐懼乎其所不聞(中庸 第1).

하늘의 이라 하며 을 따르는 것을 라 하며 를 닦음을 라 한다. 란 잠시도 떨어질 수가 없으니 떨어질 수 있으면 가 아니다. 이런 연고로 君子는 그 보지 못하는 데서 경계하고 삼가며, 그 듣지 못하는 데서 두려워하는 것이다.

 

小人 不知天命而不畏也 狎大人 侮聖人之言

소인小人은 천명天命을 알지 못하여 두려워하지 않고 대인大人을 가벼이 보고 성인聖人의 말을 업신여긴다.

 

[本文解說]

() : 가벼이 보다, 친압하다. () : 업신여기다.

 

[기타사항]

上士聞道 勤而行之 中士聞道 若存若亡 下士聞道 大笑之 不笑 不足以爲道(老子 道德經 第41)

上士를 들으면 힘써서 행하고 中士를 들으면 보존하는 듯 잃어버리는 듯 下士를 들으면 크게 웃는데 웃지 않으면 가 되기에 부족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