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十八章(察政章, 順化章)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禍兮福所倚

福兮禍所伏

孰知其極 其無正耶

正復爲奇

善復爲妖

人之迷也 其日固久矣

是以聖人 方而不割

廉而不劌

直而不肆

光而不耀

 

[ 풀이 ]

 

1.1 其政悶悶 其民淳淳

其政察察 其民缺缺

정치가 어수룩하면 백성은 순박하고

정치가 밝고 자세하면 백성은 여유가 없게 된다.

 

() : 어둡다. 悶悶 : 어수룩하다, 마음이 편치 않다, 온화하다, 미지근하다. () : 순박하다. () : 살피다, 밝고 자세하다. () : 이지러지다, 모자라다. 여유가 없다, 쫓기다.

 

1.2 禍兮福所倚

福兮禍所伏

孰知其極 其無正耶

화여, 복이 의지하는 것이고

복이여, 화가 숨어있는 것임을

누가 그 을 아는가. 정해진 이치가 없는 것임을.

 

() : 定也, 정해지거나 일정한 이치.

 

1.3 正復爲奇

善復爲妖

人之迷也 其日固久矣

바름이 다시 변칙이 되고

이 다시 요사함이 되니

사람들이 미혹한 것은 그 연수年數가 굳고 오래되었다.

 

1.4 是以聖人 方而不割

廉而不劌

直而不肆

光而不耀

이 때문에 성인은 방정하나 그 방정함으로 손상시키지 않고

청렴하나 그 청렴함으로 상처를 입히지 않으며

곧으나 그 곧음으로 방자하지 않으며

빛나나 빛나려고 하지 않는다.

 

() : 베다, 해치다, 손상하다, 파헤치다. () : 청렴하다, 곧다. () : 상처 입히다, 쪼개다. 耀() : 빛나다.

光而不耀 : 은 빛나다, 지혜광명이 있다, , 不耀는 빛나지 않다, 자랑하지 않다, 뽐내지 않다.

 

[기타사항]

이 장을 관통하는 뜻은 인생의 득실을 보는 관점이다. 내려놓으면 모든 것이 평담해진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