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子曰 有惡 惡稱人之惡者 惡居下流而訕上者 惡勇而無禮者 惡果敢而窒者 曰 賜也 亦有惡乎 惡徼以爲知者 惡不孫以爲勇者 惡訐以爲直者
24.1 子貢曰 君子亦有惡乎 子曰 有惡 惡稱人之惡者 惡居下流而訕上者 惡勇而無禮者 惡果敢而窒者
「 자공子貢이 말했다. 군자도 또한 미워하는 바가 있습니까. 자왈 미워하는 것이 있다. 남의 허물惡을 들추는 자를 미워하고 밑에 있으면서 윗사람을 헐뜯는 사람을 미워하고 용기가 있으나 예의가 없는 사람을 미워하고 과감하지만 막혀 있는 자를 미워한다. 」
[本文解說]
※ 惡(악, 오) : (악)악, 허물, 잘못, (오)미워하다, 싫어하다. 稱(칭) : 일컫다, 드러내다. 訕(산) : 헐뜯다. 窒(질) : 막다, 막히다, 통하지 않다.
※ 稱人之惡者 : 稱은 떠들고 전파하다, 惡은 허물, 者는 놈.
※ 下流 : 남의 밑, 晩唐 이전의 판본에는 流字가 없다고 하여 衍文으로 보는 이가 많다.
[기타사항]
※ 공자는 늘 勇이 仁·義·禮·智와 學과 연계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24.2 曰 賜也 亦有惡乎 惡徼以爲知者 惡不孫以爲勇者 惡訐以爲直者
「 공자왈 사賜도 또한 미워하는 것이 있느냐. 주워들은 것을 지식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하며, 공손하지 못함을 용기가 있는 것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하며, 들추어내는 것을 곧은 것으로 여기는 자를 미워합니다. 」
[本文解說]
※ 徼(요) : 훔치다, 표절하다, 몇 마디 주워듣다. 訐(알) : 들추어내다, 고자질하다.
※ 賜也 : 賜는 자공, 也는 음절을 조정하는 어기사.
※ 亦有惡乎 : 亦는 또한, 有惡은 미워함이 있다, 乎는 의문의 어기사.
※ 徼以爲知 : 徼以는 以徼의 도치, 徼는 표절하다. ‘남의 말을 가로채어 자기가 본래 아는 것처럼 하는 것(다산)’.
[기타사항]
※ 孟子 曰 知者 無不知也 當務之爲急 仁者 無不愛也 急親賢之爲務 堯舜之知 而不徧物 急先務也 堯舜之仁 不徧愛人 急親賢也(孟子 盡心上 第46).
「 맹자왈 지혜로운 자는 알지 못하는 바가 없으니 힘써야 하는 바를 급히 하며, 어진 자는 사랑하지 않음이 없으니 급히 賢者를 친하게 함을 의무로 삼는다. 堯·舜의 지혜로 사물에 두루 하지 않음은 먼저 해야될 일을 급히 여긴 것이며, 堯·舜의 仁으로 사람을 두루 사랑하지 않음은 어진 이를 친히 함을 급하게 여겼기 때문이다. 」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黜성인의 종류 (0) | 2020.04.22 |
---|---|
女子與小人치인의 어려움 (0) | 2020.04.21 |
予欲無言큰 도를 말하다 (0) | 2020.04.20 |
鄙夫얻지 못할까 안달내다 (0) | 2020.04.20 |
何莫學夫詩시를 배우면 (0) | 2020.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