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十一章(貴左章, 偃武章)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兵者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不可得志於天下

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處左 上將軍處右

言以喪禮處之

殺人衆多 以悲哀泣之

戰勝則以喪禮處之

 

[ 풀이 ]

 

1.1 夫佳兵者 不祥之器

物或惡之 故有道者不處

무릇 좋은 무기는 상서롭지 못한 도구이니

만물도 싫어한다. 그러므로 있는 자는 거기에 의지하지 않는다.

 

() : 아름답다, 훌륭하다. () : 무기, 전쟁, 군대. () : 상서롭다.

佳兵 : 좋은 무기, 군대를 잘 운용하다.

 

1.2 君子居則貴左 用兵則貴右

군자가 거처하면 좌측을 귀하게 여기고 을 쓸 때면 우측을 귀하게 여긴다.

 

1.3 兵者 不祥之器 非君子之器

不得已而用之 恬淡爲上 勝而不美

而美之者 是樂殺人

夫樂殺人者 不可得志於天下

은 상서롭지 못한 도구이고 군자의 도구는 아니니 부득이 사용하여야 하며,

욕심 없이 담백한 마음이 상책이 되니, 이기더라도 아름답게 여길 수 없으며.

이것을 아름답게 여기는 자는 사람 죽임을 즐기는 자이다.

무릇 사람 죽이는 것을 즐기는 자는 천하에 뜻을 얻을 수 없다.

 

() : 편안하다. () : 자랑스럽게 여기다, 과시하다. 恬淡(염담) : 욕심이 없고 담백함, 이익을 탐내는 마음이 없음.

(兵者 不祥之器) : 1.1항과 중복되었으며, 초간본에는 없다.

 

1.4 吉事尙左 凶事尙右 故吉事尙左 凶事尙右

偏將軍處左 上將軍處右 是以偏將軍居左 上將軍居右

言以喪禮處之 言以喪禮居之也

殺人衆多 以悲哀泣之 故殺人衆 以悲哀莅之

戰勝則以喪禮處之 戰勝 以喪禮居之

길한 일은 좌측을 높이고 흉사에는 우측을 높이니

편장군은 좌측에 처하고 상장군은 우측에 처하는 것은

상례로써 처함을 말하는 것이다.

사람을 많이 죽이면 슬퍼서 눈물을 흘려 애도해야 하니

전쟁에서 승리하더라도 喪禮로서 처하는 것이다.

 

[기타사항]

君子 貴陽而好生 故居必尙左 唯喪與兵尙右 以其爲凶事也(홍석주)

군자는 을 귀하게 여기고 생을 좋아한다. 그러므로 거처함에는 반드시 좌측을 숭상한다. 오직 은 우측을 숭상하는데 그것은 흉사이기 때문이다.

左右2개의 기호로써 왼편은 , 오른편은 . 군대는 陰道를 사용

: + , 止戈爲武

※ ※ 군대 직제로 편장군은 상장군의 아래 자리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