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十章(生死章, 貴生章)
出生入死
生之徒 十有三
死之徒 十有三
人之生 動之死地者 亦十有三
夫何故 以其生生之厚
蓋聞善攝生者
陸行不遇兕虎
入軍不被甲兵
兕無所投其角
虎無所措其爪
兵無所容其刃
夫何故 以其無死地
[ 풀이 ]
1.1 出生入死
生之徒 十有三
死之徒 十有三
人之生 動之死地者 亦十有三
夫何故 以其生生之厚
「 태어나서 죽음으로 들어가니
생으로 가는 무리가 十에 三이고
죽음으로 가는 무리가 十에 三이다.
사람이 생으로 가는데 움직였다 하면 사지死地로 가는 자가 또한 十에 三이다.
무릇 어떤 연고인가 하면 그것은 몸을 기르는 것을 두텁게 하기 때문이다. 」
※ 動(동) : 움직이다, 곧잘(보만재), 걸핏하면.
※ 出生入死 : 出生은 태어나다, 入死은 죽음으로 들어가다.
· 生者寄也 死者歸也(堯舜).
※ 生之徒 死之徒 : 타고난 운명대로 사는 사람,
※ 動之死地者 : 애욕, 욕심으로 사는 사람.
1.2 蓋聞善攝生者
陸行不遇兕虎
入軍不被甲兵
兕無所投其角
虎無所措其爪
兵無所容其刃
夫何故 以其無死地
「 들으니 섭생을 잘하는 자는
육지를 다녀도 외뿔소와 호랑이를 만나지 않고
軍에 들어가도 갑옷을 입은 군사에게 당하지 않으며
외뿔소가 그 뿔을 부딪칠 바가 없고
호랑이가 그 발톱을 둘 바가 없으며
병사가 그 칼을 내밀 곳이 바가 없다.
저 어떤 까닭인가 하면 그 사람에게는 死地가 없기 때문이다. 」
※ 爪(조) : 손톱. 刃(인) : 칼날. 攝(섭) : 다스리다, 잡다, 가지다.
※ 死地 : 욕심이 없는 경지, 죽는다는 마음.
[기타사항]
※ 10의 9는 섭생을 잘 못하는 사람이고 10의 1은 섭생을 잘하는 사람인데, 몸에 대한 욕심 없이 몸의 주인인 마음을 기르므로 死地가 없는 것이다.
※ 十有三 : 十有三 猶云十分有三으로 본다.
· 13으로 보는 설 : 四肢與九竅十有三者(韓非子), 七情과 六欲(고형).
※ 상경 제 21장의 의미를 확장.
※ 出生入死 : 生者寄也 死者歸也.
※ 한 인간으로서 스스로 인생의 경지가 있어야 하거늘 사람이 늙어서 내적인 정신수양이 없으면 기댈 곳이 없다. 만약 한 사람의 정서가 무너지고 위축된다면 그런 것은 모두 스스로 번뇌를 자초한 것이다.
※ 夫天地者萬物之逆旅也 光陰者百代之過客 浮生若夢 爲歡幾何(이태백).
「 천지는 만물이 머무르는 여관이고 세월은 백대의 과객이라
뜬구름 같은 인생은 꿈같으니 즐거운 일이 그 얼마나 되는지. 」
※ 攝 : 스스로 꽉 쥐고 있다는 의미. 攝生이란 자신의 생명을 주관한다는 의미.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守母 어머니를 지키다 (0) | 2020.06.03 |
---|---|
養德덕을 기르다 (0) | 2020.06.02 |
德善덕의 운용이 선하다 (0) | 2020.05.27 |
日損나날이 덜어내다 (0) | 2020.05.27 |
不出戶 知天下문을 나가지 않아도 천하의 일을 알며 (0) | 2020.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