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六十一章(爲下章, 謙德章)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天下之牝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
故大國以下小國 則取小國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
故或下以取 或下而取
大國不過欲兼畜人
小國不過欲入事人
夫兩者各得其所欲
故大者宜爲下
[ 풀이 ]
1.1 大國者下流
天下之交 天下之牝
「 大國은 흘러서 아래쪽에 있으므로
천하가 만나게 되고 천하의 암컷이 된다. 」
※ 下流(하류) : 강이나 내의 흘러가는 아래쪽, 낮은 데로 흐르다, 겸허한 덕
※ 牝(빈) : 암컷, 도, 어머니.
1.2 牝常以靜勝牡 以靜爲下
「 암컷은 늘 고요함으로 수컷에 이기니 고요함으로써 자기를 낮춘다. 」
※ 牡(모) : 수컷, 양.
1.3 故大國以下小國 則取小國
小國以下大國 則取大國
故或下以取 或下而取
「 그러므로 큰 나라는 작은 나라에 자신을 낮추어 그 나라를 취하며
소국은 대국에 낮춤으로써 대국에서 취한다.
그러므로 혹 낮춤으로써 취하거나 혹은 낮추어 취한다. 」
※ 故或下以取 或下而取 : 以와 而는 허사, 以는 아래에서 숙이다, 而는 아래여서.
1.4 大國不過欲兼畜人
小國不過欲入事人
夫兩者各得其所欲
故大者宜爲下
「 대국은 겸병하여 사람을 기르려고 하는 것에 불과하며
소국은 들어가서 사람을 섬기려고 하는 것에 불과하다.
무릇 이 두 나라는 각각 그 원하는 바를 얻는 것이니
그러므로 큰 나라는 자기를 낮춤이 마땅한 것이다. 」
※ 兼(겸) : 아울러, 함께, 아우르다, 겸병하다.
※ 大國不過欲兼畜 : 大國, 不, 過는 지나치게, 欲은 하고자 하다, 兼은 아울러, 畜(휵)은 기르다, 人.
[기타사항]
※ 이 장 전체의 중심개념은 ‘下’字이며, 국가와 국가 간의 관계를 나타낸다.
※ 水唯能下方成解 山不矜高自及天 : 「 물은 오직 아래로 흘러가기에 비로소 바다를 이루며, 산은 높음을 자랑하지 않으므로 하늘에 이르게 된다. 」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無難어려움이 없으려면 (0) | 2020.06.18 |
---|---|
道奧도의 오묘함 (0) | 2020.06.17 |
治大國큰 나라의 다스림 (0) | 2020.06.15 |
長生뿌리가 깊고 근본을 굳건히 하다 (0) | 2020.06.12 |
察政정사는 어떠해야 하는가 (0) | 2020.06.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