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十一章(虛中章, 無用章)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挺)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 풀이 ]
1.1 三十輻 共一轂
當其無 有車之用
埏(挺)埴以爲器
當其無 有器之用
「 30개의 바큇살이 하나의 바퀴통을 공유하여 도는데
그 가운데가 비어 있음으로 해서 수레의 효용이 있고
진흙을 빚어 그릇을 만드는데
그 비어있음으로 해서 그릇의 쓰임이 있다. 」
※ 轂(곡) : 바퀴. 埏(연) : 흙에 물을 부어 반죽하다, 挺(정) : 빼다, 뽑다. 埴(식) : 진흙. 埏(선) : 흙을 빚는다, 挺로 쓴 경우도 있다. 백서본은 燃으로 ‘도자기를 굽다’는 뜻.
※ 共(공) : 향하다(向一, 拱), 함께 하다, 맞아들이다, 둘러싸다, 공유하다,
· 子曰 爲政以德 譬如北辰 居其所 而衆星 共之(論語 爲政篇 第1)
※ 當其無 : 當은 당하다, 말미암다, 其, 無는 비어 있음.
1.2 鑿戶牖以爲室
當其無 有室之用
「 문과 창을 파서 집을 만드는데
그것이 비어있음으로 말미암아 집의 효용이 있게 된다. 」
※ 鑿(착) : 뚫다, 열다, 파다. 戶(호) : 지게, 문. 牖(유) : 창, 남쪽으로 낸 창.
1.3 故有之以爲利 無之以爲用
「 그러므로 있음으로서 이로움이 되고 없음으로서 묘한 작용이 있게 된다. 」
※ 用(용) : 쓰다, 작용, 여기서는 묘한 작용.
[기타사항]
※ 道는 無와 有사이의 오묘한 사이에 존재한다는 사실을 설명한 장으로 無가 有의 지도리가 된다는 뜻으로 설명하고 있다.
· 노자는 有生於無로 이때 有는 작용, 無는 본체로 본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第十三章(寵辱章, 廉恥章)총애를 받을 때 치욕을 받듯이 놀라다 (0) | 2020.03.31 |
---|---|
第十二章(爲腹章, 檢欲章)욕심을 쫓는 눈과 입을 절제하다 (0) | 2020.03.31 |
第二章(觀徼章, 養生章)상대성을 벗어나는 길 (0) | 2020.03.25 |
第十章(玄德章, 能爲章)갓난아기로 돌아갈 수 있는가 (0) | 2020.03.25 |
第九章(持盈章, 運夷章)공을 이루고 나서 물러날 수 있겠는가 (0) | 2020.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