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不知禮 無以立也 不知言 無以知人也

 

子曰 不知命 無以爲君子也

자왈 명을 알지 못하면 군자가 될 수 없다.

 

[本文解說]

논어에는 이나 天命을 언급하는 3회다.

· 不知命(堯曰篇 第3), 五十而知天命(爲政篇 第4), 畏天命(季氏篇 第8).

() : 爲政篇天命의 개념과 다르다, 여기서 은 하늘이 사람에게 부여한 움직일 수 없는 氣數, 吉凶禍福, 榮辱得失, 死生窮達과 같은 것. 한 개인이 타인이나 사회, 자연과 맺는 관계나 운명을 뜻한다.

· 窮達之本(공안국), 政令(동중서), 天命(주자).

無以爲君子也 : 無以 : ~할 수 없다, 는 되다, 君子, 어조사.

茶山논어가 에서 시작, 으로 끝나므로 下學上達의 뜻이 있다라고 함.

 

不知禮 無以立也

를 알지 못하면 설 수 없다.

 

[本文解說]

無以立也 : 無以~할 수 없다, 은 서다, 출사하다, 는 어조사.

 

[기타사항]

子曰 興於詩 立於禮 成於樂(泰伯篇 第8).

 

不知言 無以知人也

말을 알지 못하면 사람을 알 수가 없다.

 

[本文解說]

無以知人也 : 無以~할 수 없다, 는 알다, , 는 어조사.

知言

· 聽言則別其是非也(마융). : 말을 들으면 그 시비를 판별할 수 있다.

· 敢問夫子 惡乎長 曰 我 知言

· 何謂知言 曰 詖辭 知其所蔽 淫辭 知其所陷 邪辭 知其所離 遁辭 知其所窮(孟子 公孫丑上 第2).

감히 부자는 어디에 장점이 있습니까. 맹자왈 나는 말을 안다.

무엇을 일러 知言이라 합니까. 맹자가 말하기를 치우친 말에 그 가리는 바를 알며, 음탕한 말에 그 빠지는 바를 알며 물러가는 말에는 그 궁색한 바를 알게 된다.

知人

· 故 君子 不可以不修身 思修身 不可以不事親 思事親 不可以不知人 思知人 不可以不知天(中庸 206).

그러므로 君子는 몸을 닦지 않을 수 없으니 修身을 생각하면 어버이를 섬기지 않을 수 없다. 어버이를 섬길 것을 생각함에 사람을 모르면 불가하고 사람을 아는 것을 생각함에 하늘을 알지 않으면 안 된다.

· 質諸鬼神而無疑 知天也 百世以俟聖人而不惑 知人也(中庸 29).

귀신에게 이를 물어도 의심하지 않음은 을 아는 것이고, 백세가 흘러 성인을 기다린 후에도 미혹하지 않으면 사람을 아는 것이다.

 

[기타사항]

: 알다, 알리다, 나타내다, 사물을 인식하고 판단하다.

· + 로 많이 알고 있으면 말이 화살처럼 빨리 나간다는 어원을 가지고 있다.

() : 논어에서 知字118번 나온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