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謂子貢曰 女與回也 孰愈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 聞一以知十 賜也 聞一而知二 子曰 弗如也 吾與女 弗如也

 

子謂子貢曰 女與回也 孰愈

孔子가 자공子貢에게 말하기를 너와 안회둘 중에서 누가 뛰어나냐.

 

愈 勝也

낫다이다.

 

[本文解說]

() : 낫다. 뛰어나다.

女與回也 : 와 같다. 는 더불어, 는 안회, 는 어세 조정 어기조사.

: 의문대사로 누구’.

 

對曰 賜也何敢望回 回也 聞一以知十 賜也 聞一以知二

자공子貢이 대답해 말했다. 저 사가 어찌 감히 안회顔回를 바라보겠습니까. 안회는 하나를 들으면 열 가지를 알고 저는 하나를 들으면 둘을 아는 정도입니다.

 

[本文解說]

() : 주다, 하사하다. () : 바라다, 넘보다, 바라보다.

賜也 : 는 자공의 이름, 는 주어 뒤에 쓰이는 어세 조정 어기사.

何敢望回 : 는 어찌, 는 부사로 감히은 넘보다, 는 안회.

聞一以知十 : 은 듣다, 은 하나, 은 수단을 나타내는 전치사로 ‘~로서’, 는 알다, 은 열.

 

子曰 弗如也 吾與女 弗如也

공자왈 미치지 못하니라, 나와 너 둘 다 미치지 못하니라.

 

[本文解說]

() : 와 같으나 보다 더 강한 부정의 어조를 띤다. : 같다, 미치다, 비슷하다.

吾與女 : , 에 대해 朱子허하다(許也)’의 뜻으로 풀이, 茶山‘~ 로 접속사로 풀이, 子貢.

: 판단의 어기조사.

 

[기타사항]

旣然子貢弗如 復云吾與汝俱不如者 蓋欲以慰子貢心也(包含古註).

이미 그렇듯 子貢이 안회와 같지 못하다고 말하고서, 다시 나와 너는 모두 안회만 같지 못하다고 말한 것은 子貢의 마음을 위로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논어 > 논어 한구절' 카테고리의 다른 글

性與天道성품과 천도에 대해 듣다  (0) 2020.06.02
剛者굳센 자란  (0) 2020.06.02
道不行 도가 행해지지 않는구나  (0) 2020.06.01
德不孤덕이 있는 사람  (0) 2020.05.30
喩於義의리에 밝고  (0) 2020.05.3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