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十九章(得一章, 法本章)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 以爲天下貞
其致之 一也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發
神爲以靈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貴高將恐蹶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稱孤寡不穀
此其以賤爲本邪 非乎
故致數輿無輿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 풀이 ]
1.1 昔之得一者
天得一以淸
地得一以寧
神得一以靈
谷得一以盈
萬物得一以生
侯王得一 以爲天下貞
其致之 一也
「 옛날에 하나를 얻는 것이 있으니
天은 하나를 얻어 깨끗하였고
地는 하나를 얻어 편안하게 되었고
神은 하나를 얻어 영험하였고
谷은 하나를 얻어 채워지게 되었고
萬物은 하나를 얻어서 생겨나게 되었고
侯王은 하나를 얻어서 천하의 바름이 되었으니
그 도달하게 함은 하나인 것이다. 」
※ 淸 : 하늘의 색은 玄인데 淸으로 표현. 盈(영) : 채우다, 차다, 충만하다.
※ 貞(정) : 바름(正), 고귀함.
※ 其致之 : 其는 그것, 致之는 도달하다, 뒤에 也자가 있는 판본도 있다.
· 推而言之의 뜻으로도 해석하여, ‘미루어서 말하면’.
1.2 天無以淸 將恐裂
地無以寧 將恐發
神無以靈 將恐歇
谷無以盈 將恐竭
萬物無以生 將恐滅
侯王無以貴高 將恐蹶
「 天이 맑지 않으면 장차 찢어질까 염려되고
地가 편안하지 않으면 장차 발동할까 염려되고
神이 영험하지 않으면 장차 쉴까 염려되고
谷이 채울 수 없으면 장차 고갈될까 염려되고
萬物이 생겨날 수 없으면 장차 없어지게 될까 염려되며
侯王이 귀하고 높을 수 없으면 장차 기울어져 다할까 염려된다. 」
※ 發(발) : 가다, 발동하다. 歇(헐) : 쉬다, 다하다. 蹶(궐) : 넘어지다, 기울어져 다하다.
故貴以賤爲本 高以下爲基
是以侯王自稱孤寡不穀
此其以賤爲本邪 非乎
「 그러므로 귀함은 천함으로써 근본을 삼으며 높음은 낮춤으로써 기반을 삼는다.
이 때문에 侯王은 스스로 외롭고 부족하고 여물지 못하다고 스스로 칭한다.
이것은 그 비천함을 근본으로 삼는 것이니, 그렇지 않겠는가. 」
1.3 故致數輿無輿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 그러므로 수레의 부품들을 세다가 수레 없음에 이르니
자기를 옥과 같이 귀하다고 하지 말고 남들을 돌과 같이 하찮게 여기지 않는다. 」
※ 輿(여) : 수레. 琭(록) : 옥. 珞(락) : 구슬, 조약돌.
※ 琭琭(녹록) : 귀하다, 珞珞(낙락) : 하찮다.
※ 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 ①不欲琭琭如玉 不欲珞珞如石, ②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③不欲琭琭如玉 珞珞如石.
[기타사항]
※ 得一 : 一은 道, 만사나 만물을 통섭하여 다시 하나로 돌아간다는 의미로 分一에 대한 大一(김), 守竅(남), 一은 유무상생의 원칙, 즉 대립면의 상호의존 원칙(최).
※ 不穀 : 밥 먹을 자격도 없는 자, 먹을거리가 없는 자.
· 朕은 그림자와 같은 사소한 사람. 조그맣게 갈라진 틈.
※ 輿 : 致가 至, 輿가 譽(吳澄本), 백서본도 갑본은 輿, 을본은 譽.
※ 琭琭如玉 洛洛如石 : 원석에서 옥을 얻으면 나머지 돌들은 쓸모가 없어진다. 차라리 한 덩어리의 원석 그대로 있는 편이 낫다. 인생도 고귀하면 쓸모가 없게 된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聞道도를 들으면 (0) | 2020.05.20 |
---|---|
反覆章도의 움직임 (0) | 2020.05.19 |
處厚章두터움에 처하다 (0) | 2020.05.18 |
無爲머무르지 않는다 (0) | 2020.05.13 |
微明미묘한 지혜 (0) | 2020.05.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