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十八章(處厚章, 論德章)

 

上德不德 是以有德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上德無爲而無以爲

下德爲之 而有以爲

上仁爲之 而無以爲

上義爲之 而有以爲

上禮爲之 而莫之應 則攘臂而仍之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也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也

是以大丈夫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

 

[ 풀이 ]

 

1.1 上德不德 是以有德

上德者이 있다고 마음에 두지 아니하므로 이 있게 된다.

 

不德 : 덕을 베풀었다고 여기지 않다, 남들의 마음을 얻으려는() 마음이 없다.

 

下德不失德 是以無德

下德者는 베푼 을 잃지 않으려고 하므로 이 없게 된다.

 

不失德 : 베푼 마음을 잃지 않다, 으로도 볼 수 있다.

 

上德無爲而無以爲

上德者無爲하여 作爲함이 없다.

 

無爲 : 앞의 不德과 같다.

無以爲 : 자의 오자로 보고 해석하여 하지 않음이 없다, 이하 上仁, 上義도 동일한 논리구조다.

· 以者有心也 無以爲 是無心而爲之也(임희일).

는 유심이다. 無以爲는 무심이 되어 행하는 것이다.

· 無以爲者 無所因而爲之 無所爲而爲之(고형).

無以爲는 인한 바가 없이 하는 것이고 하는 바가 없이 하는 것이다.

 

下德爲之 而有以爲

下德者作爲하여 행할 수 있다.

 

有以爲 : 의 틀린 글자로 보고 되는 일이 없다.

 

1.2 上仁爲之 而無以爲

上仁者는 행하나 행하려고 하는 것이 없다.

 

上義爲之 而有以爲

上義者는 작위하여 행할 수 있다.

 

上禮爲之 而莫之應 則攘臂而仍之

上禮者는 베풀었는데 응하지 않으면 어깨를 당겨서라도 따르게 한다.

 

() : 물리치다, 걷다, 걷어 올리다. () : . () : 인하다, 나아가다, 따르다.

仍之 : 扔之로 되어 있는 판본도 있다. () : 당기다, 끌어당기다.

() : 고도의 문화, 일체의 정신문명, 물질문명, 역사, 문화, 개인의 행동규율까지 포괄하는 말.

 

1.3 故失道而後德

失德而後仁

失仁而後義

失義而後禮

그러므로 를 잃은 후에 이 생겨나고

을 잃은 후에 이 생겨나고

을 잃은 후에 가 생겨나고

를 잃은 후에 가 생겨난다.

 

----5단계를 이야기 하고 있다. 다음은 -이다.

18장과 연관된다.

 

1.4 夫禮者 忠信之薄 而亂之首也

前識者 道之華 而愚之始也

무릇 ·의 엷음이고 혼란의 우두머리며,

미리 아는 것은 의 꽃이나 어리석음의 시작이 된다.

 

() : 엷다, 적다.

前識 : 先見, 先知, 分別智, 선견지명자.

 

1.5 是以大丈夫處其厚 不居其薄

處其實 不居其華

故去彼取此

이 때문에 대장부는 그 두터움에 처하지 그 얇음에 처하지 않으며

그 실질에 처하지 그 화려함에 거처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저것()을 버리고 이것()을 취한다.

 

: 도덕, : 겉치례, 忠信之薄

: 도덕과 인의. : 지혜

: 예의와 지혜. : 도덕과 인의.

不居其薄 : 예에 거처하지 않는다는 의미.

大丈夫(대장부) : 上德者, 有道者.

 

[기타사항]

:

· 德者 內也 得者 外也(한비자 해로편).

· 得也(왕필).

前識者 : 不知而言知爲前識(하상공), 前人而識也 卽下德之倫也(왕필), 미리 아는 것으로 先知()

故去彼取此 : 소박하고 꾸밈이 없는 상태로 돌아가는 것으로 제10장의 專氣致柔能嬰兒乎, 즉 갓난아기가 분별심이 없는 것과 같은 상태이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反覆章도의 움직임  (0) 2020.05.19
得一하나를 얻으면  (0) 2020.05.19
無爲머무르지 않는다  (0) 2020.05.13
微明미묘한 지혜  (0) 2020.05.13
大象도는 하지 않음이 없다  (0) 2020.05.13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