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三十六章(微明章, 微明章)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柔勝剛 弱勝强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 풀이 ]

 

1.1 將欲歙之 必固張之

將欲弱之 必固强之

將欲廢之 必固興之

將欲奪之 必固與之

是謂微明

장차 거두어들이려고 하면 반드시 거듭 펼쳐주고

장차 약하게 하려면 반드시 강하게 해주고

장차 폐하려면 반드시 흥기시켜주고

장차 뺏으려면 반드시 먼저 주어야 한다.

이것을 일러 미묘한 밝음微明이라 한다.

 

() : 줄이다, 움츠리다.

() : 거듭, 반드시, 진실로, 항상, 처음부터, 이미.

· 백서에는 ()로 잠시라는 뜻으로 쓰인다.

微明 : 은미한 밝음, 오묘한 밝음, 미묘한 밝음, 불가사의한 지혜(혜거).

· 경전에서는 이 지혜를 의미하기도 한다.

 

1.2 柔勝剛 弱勝强

부드러움은 굳셈을 이기고 약함은 강함을 이긴다.

 

() : 억세다. () : 강하다, 굳세다.

·: 微明이 현상으로 나타나는 모습으로 謙虛와 뜻이 통한다.

 

1.3 魚不可脫於淵

國之利器 不可以示人

고기가 연못을 벗어남이 불가하듯이

나라의 이로운 기물을 사람에게 보여줌은 불가하다.

 

() : 벗다, 벗어나다.

利器 : 무기, 도구, 정책, 도덕, 상법, 속내, 柔弱.

· 利國之器(왕필), 權道(하상공).

<莊子 胠篋篇>에 나온다.

 

[기타사항]

이 장은 노자답지 못하고 권모술수를 주장한 법가나 병가의 주장과 유사하여 논란이 많은 구절이다.

福無雙至 禍不單行(중국속담)

魚不可脫於淵 : ‘용이 얕은 물에서 놀면 새우의 조롱을 당하고, 호랑이가 평지로 몰리면 개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는 표현과 비슷하다.

微明 : 인과의 이치를 알고, 미세함으로부터 알아내고, 미묘한 부분을 똑똑히 보아 핵심을 분명히 안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處厚章두터움에 처하다  (0) 2020.05.18
無爲머무르지 않는다  (0) 2020.05.13
大象도는 하지 않음이 없다  (0) 2020.05.13
成大대도를 이루다  (0) 2020.05.11
盡己章자신의 사사로움을 없애다  (0) 2020.05.11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