子曰 質勝文則野 文勝質則史 文質 彬彬然後 君子

자왈 자질이 꾸밈을 이기면 촌스럽고, 꾸밈이 자질을 이기면 번지러하니 꾸밈과 자질이 조화를 이룬 뒤에야 군자답다.

 

[本文解說]

() : 빛나다, 겸비하다, 아름답고 성하다. 彬彬(빈빈) : 얼룩반점이 반씩 섞여 보기 좋은 모습, 班班(반반)으로도 표기. () : 이기다, 넘치다, 지나치다.

() : 바탕, 자질, 내재하는 본성의 소박함과 순박함. () : 외재하는 언행의 문식과 광채, 문채, 꾸밈.

() : 꾸미지 않아 질박한 상태, 촌스럽다, 투박하다. () : 내용은 없으면서 겉모습만 번지르르한 상태,

君子 : 君子는 의동사로 군자답다’.

 

[기타사항]

甘受和 白受采 忠信之人 可以學禮(禮記 禮器篇).

단맛은 조화를 받을 수 있고 은 채색을 받으니 忠信한 사람은 예를 배울 수 있다.

九三 賁如濡如 永貞 吉 象曰 永貞之吉 終莫之陵也(周易 賁卦 九三爻).

九三은 꾸미는 듯 젖어드는 듯 오랫동안 바르게 하면 길하다. 象曰 오래 바르게 함이 길하니 끝내 업신여김을 당하지 않을 것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