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八十一章(不積章, 顯質章)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

知者不博 博者不知

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

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爭

 

[ 풀이 ]

 

1.1 信言不美

美言不信

善者不辯 辯者不善

知者不博 博者不知

믿음을 주는 말은 아름답지 않고

아름다운 말은 미덥지 않다.

선한 자는 말을 잘 하려고 하지 않고 말을 잘하는 자는 선하지 못하며

지자知者는 너절하지 않고 너절하게 아는 자는 알지 못한다.

 

() : 넓다, 너절하다. () : 말 잘하다, 분별하다, 말다툼하다, 다투다.

信言 : 믿음을 주는 말, 진실한 말.

美言 : 아름다운 말, 꾸미는 말, 번지러한 말.

知者 : 깨달은 자.

 

1.2 聖人不積

旣以爲人 己愈有

旣以與人 己愈多

성인은 쌓아두지 않으니

이미 남을 위하면 위할수록 자기는 점점 더 가지게 되며

이미 사람에게 주면 줄수록 자기는 점점 더 많아지게 된다.

1.3 天之道 利而不害

聖人之道 爲而不爭

하늘의 도는 이롭게 하면서 해롭지 않고

성인의 도는 행하면서 다투지 않는다.

 

[기타사항]

노자의 무위는 아무 것도 함이 없는 자연주의가 아니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0) 2020.12.01
觀妙묘함을 보다  (0) 2020.08.03
小國寡民노자의 이상향  (0) 2020.07.29
左契계약문서  (0) 2020.07.29
水德물의 덕  (0) 2020.07.29

第八十章(不徙章, 獨立章)

 

小國寡民

使有什伯之器 而不用

使民重死 而不遠徙

雖有舟車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使民復結繩而用之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鄰國相望 鷄犬之音相聞

民至老死 不相往來

 

[ 풀이 ]

 

1.1 小國寡民

使有什伯之器 而不用

使民重死 而不遠徙

작은 나라는 백성들의 수가 적다.

보통사람보다 10배나 100배 뛰어난 기량을 가진 사람을 쓰지 않도록 하고

백성들로 하여금 죽음을 중하게 여겨 멀리 가지 않도록 한다.

 

() : 적다, 작다. () : 나라, 고장, 지방, 지역, 당시 은 지방 정치의 단위를 가리키는 명사.

什伯之器 : 병기 혹은 각종 기구, 많은 사람이 한꺼번에 쓸 수 있는 큰 그릇, 달리 보통 사람보다 십 배, 백 배나 뛰어난 기량을 가진 사람.

 

1.2 雖有舟車 無所乘之

雖有甲兵 無所陳之

使民復結繩而用之

비록 배와 수레가 있을 지라도 탈 이유가 없도록 하며

비록 병사와 무기가 있을 지라도 진군할 까닭이 없도록 하며

백성들로 하여금 소박한 마음을 회복하게 한다.

 

: 금지사로 ‘~하게 하지마라’. () : 펴다, 베풀다.

結繩(결승) : 결승문자, 소박한 시대.

 

1.3 甘其食 美其服

安其居 樂其俗

자기가 사는 곳의 음식을 달게 여기고 복장을 아름답게 여기며

거처함을 편안히 여기며 풍속을 즐기게 한다.

 

1.4 鄰國相望 鷄犬之音相聞

民至老死 不相往來

인접한 나라의 백성이 서로 바라보고 닭과 개 소리가 서로 들리고

백성은 늙어 죽음에 이르게 될 때까지 서로 왕래하지 않는다.

 

[기타사항]

內足而外無所慕 故以其所有爲美 以其所處相樂 而不復求也(소철).

안으로 족하면 밖으로 사모하는 바가 없다. 그러므로 그 있는 바로써 아름다움으로 삼고 그 거처하는 바로써 서로 즐거움으로 삼으므로 다시 구하지 않는 것이다.

이 장은 노자사상의 지향점이 무엇인지 구체적인 모습을 담은 조감도이다. 요순시대의 백성과 같이 무위이화의 다스림에 있는 개인들이 각자 행함이 없이 행하면서도 사회의 통합을 이루어 내는 시스템을 小國寡民이라 하지 않을까.

使民復結繩而用之 : 단순히 옛날로 돌아가자는 수구적 개념이 아닌 원시 시대의 순수성을 회복하여 사는 방식.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觀妙묘함을 보다  (0) 2020.08.03
不積쌓아두지 않다  (0) 2020.07.29
左契계약문서  (0) 2020.07.29
水德물의 덕  (0) 2020.07.29
天道하늘의 도  (0) 2020.07.29

第七十九章(左契章, 任契章)

 

和大怨 必有餘怨

安可以爲善

是以聖人執左契 而不責於人

故有德司契 無德司徹

天道無親 常與善人

 

[ 풀이 ]

 

1.1 和大怨 必有餘怨

安可以爲善

큰 원한은 화해를 해도 반드시 남는 원한이 있으니

어찌 선이 될 수 있겠는가.

 

1.2 是以聖人執左契 而不責於人

故有德司契 無德司徹

이로써 성인은 좌계左契를 잡고도 사람들에게서 받아내지 않는다.

그러므로 덕 있는 자는 계약을 담당하고 덕 없는 자는 철저히 받으려고 한다.

 

() : 규명하다, 바라다, 책망하다, 받아내다, 요구하다.

左契 : 차용 관계에 대한 문서를 좌우로 나누어서 채무자는 좌계를, 채권자는 우계를 갖는 의미. 좌계는 합함을 기다리고, 우계는 취함을 조른다는 뜻이 있다. 큰 원칙을 뜻한다.

 

1.3 天道無親 常與善人

천도는 사사로운 친함이 없으니 늘 선한 사람들과 함께 한다.

 

[기타사항]

左契 : 큰 원칙, 는 어음, 나무 조각으로 어음을 만들어서 나눈 다음 왼쪽어음은 보관자가, 오른쪽 어음은 물품을 받을 자가 지닌다. 왼쪽어음을 지닌 자는 오른쪽어음을 지닌 자에게 물건을 내어 주어야 한다. 王弼防怨之所由生也

: 주대 십분의 일을 마치는 조세 제도. 박탈하다는 의미. 王弼司人之過也

: 문서를 작성할 정도의 일은 큰일이므로 덕이 있는 사람이 담당하고, 다른 사람의 잘못을 살피는 일은 사소한 일이므로 덕이 없어도 된다는 의미.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不積쌓아두지 않다  (0) 2020.07.29
小國寡民노자의 이상향  (0) 2020.07.29
水德물의 덕  (0) 2020.07.29
天道하늘의 도  (0) 2020.07.29
柔弱유약함이란  (0) 2020.07.28

第七十八章(水德章, 任信章)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以其無以易之

故弱勝强 柔之勝剛

天下莫不知 莫能行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

 

[ 풀이 ]

 

1.1 天下莫柔弱於水

而攻堅强者 莫之能勝

以其無以易之

천하에 물보다 유약한 것이 없으니

단단하고 강한 것을 공격하여 이기지 못함이 없는 것은

천하의 어떤 것도 물을 변화시킬 수가 없기 때문이다.

 

: 역접관계 접속사.

(莫之能勝) : 御定道德經(청 세조때 발간)에서는 (莫之能先).

以其無以易之 : 以其의 구조 그것은 ~하기 때문이다, 無以易는 바꿀 수가 없다, 는 물.

 

1.2 故弱勝强 柔之勝剛

天下莫不知 莫能行

是以聖人云

受國之垢 是謂社稷主

受國不祥 是謂天下王

正言若反

그러므로 유약함이 강함을 이기고

부드러움이 굳셈을 이기는 것을

천하는 알지 못함이 없으나 물처럼 행하지 못한다.

이로써 성인은 말하기를

나라의 가장 낮은 자리에 처하는 이를 일러 사직의 주인이라고 말하고

나라의 상스럽지 못한 것을 받는 이를 일러 천하의 왕이라 한다.

바른 말은 반대로 말하는 듯하다.

 

() : ~와 같다. () : , 티끌, 낮은 곳.

受國之垢 : 는 받다, 처하다, 國之垢는 나라의 때, 나라의 낮은 자리.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小國寡民노자의 이상향  (0) 2020.07.29
左契계약문서  (0) 2020.07.29
天道하늘의 도  (0) 2020.07.29
柔弱유약함이란  (0) 2020.07.28
貴生생을 귀하게 여기다  (0) 2020.07.27

第七十七章(天道章, 天道章 )

 

天之道 其猶張弓乎

高者抑之 下者擧之

有餘者損之 不足者補之

天之道 損有餘 而補不足

人之道 則不然

損不足以奉有餘

孰能有餘以奉天下 唯有道者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其不欲見賢

 

[ 풀이 ]

 

1.1 天之道 其猶張弓乎

高者抑之 下者擧之

有餘者損之 不足者補之

天之道 損有餘 而補不足

하늘의 도는 화살을 메우는 것과 같으니

높으면 억누르고 낮으면 들어올리며

남음이 있으면 덜어내고 부족한 곳은 채워준다.

하늘의 도는 남는 것을 덜어내어 부족한 곳을 채워준다.

 

: 가정이나 추측의 어기조사.

謙卦 彖傳.

 

1.2 人之道 則不然

損不足以奉有餘

孰能有餘以奉天下

唯有道者

是以聖人爲而不恃

功成而不處

其不欲見賢

사람의 도는 그러하지 않으니

부족한 곳을 덜어서 남는 곳에 바친다.

누가 남음이 있는 것으로써 천하를 봉양할 수 있겠는가.

오직 도가 있는 자이다.

이 때문에 성인은 행하되 자랑하지 않고

공을 이루어도 머무르지 않고

현명함을 드러내려 하지 않는 것이다.

 

() : 믿다, 자랑하다.

人之道 : 人之事.

見賢 : 은 드러내다, 은 현명함, 달리 (見賢耶)의 형태로 보고 ‘~하지 않는 것이 아닐까’.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左契계약문서  (0) 2020.07.29
水德물의 덕  (0) 2020.07.29
柔弱유약함이란  (0) 2020.07.28
貴生생을 귀하게 여기다  (0) 2020.07.27
司殺죽임을 담당하는 자  (0) 2020.07.14

第七十六章(柔弱章, 戒强章)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萬物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槁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是以兵强則不勝

木强則兵

堅强居下

柔弱居上

 

[ 풀이 ]

 

1.1 人之生也柔弱 其死也堅强

萬物草木之生也柔脆 其死也枯槁

故堅强者死之徒 柔弱者生之徒

是以兵强則不勝

사람이 태어남에는 유약하나, 그 죽음에 이르러서는 딱딱하며

만물 초목도 태어남에는 부드럽고 약하나, 그 죽음에 이르러서는 메마르다.

그러므로 견강한 것은 죽음의 무리이며 유약한 것은 생의 무리이니

이 때문에 병력이 강하기만 하면 이기지 못한다.

 

() : 무르다, 약하다. () : 마르다, 비다. () : 마르다.

堅强 : 딱딱하고 강하다.

 

1.2 木强則兵

堅强居下

柔弱居上

나무가 강하면 베어져 병기가 된다.

나무의 견고하고 강한 것은 아래에 위치하며

유약한 것은 위에 위치하는 것이다.

 

: (왕필본), (엄준본), (백서갑본), (을본), (수주본)).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水德물의 덕  (0) 2020.07.29
天道하늘의 도  (0) 2020.07.29
貴生생을 귀하게 여기다  (0) 2020.07.27
司殺죽임을 담당하는 자  (0) 2020.07.14
天網하늘의 그물은 크고 넓다  (0) 2020.07.13

子夏曰 日知其所亡 月無忘其所能 可謂好學也已矣

자하子夏가 말했다. 날마다 나에게 없는 것을 알며 날마다 능한 바를 잊지 않으면 배우기를 좋아한다고 이를 만하다.

 

[本文解說]

: 일반적인 사람, ’‘.

日知其所亡() : 은 날마다, 는 알다, 는 자기 자신, 所亡(배워서 안 것이)없어지는 바, 달리 자기가 몰랐던 것.

· 好學者 日新而不失(윤언명) : 배우기를 좋아하는 자는 날마다 새롭고, 보존하고 있는 것을 잃지 않는다.

也已矣 : 단정어기의 어조사. ‘~일 뿐이다’.

 

子夏曰 雖小道 必有可觀者焉 致遠恐泥 是以 君子不爲也

자하子夏가 말했다. 비록 조그만 도라고 할지라도 반드시 볼만한 것이 있지만 원대함에 이르는 데에 막힐까 염려된다. 이 때문에 군자는 하지 않는 것이다.

 

[本文解說]

() : 진흙, 막히다, 빠지다, 흐리다, 거리끼다.

小道 : 지엽적인 것, 농업, 원예, 의술, 점복과 같은 종류(주자).

· 異端(何晏), 異端之說 百家語(邢昺), 諸子百家書冊(鄭玄, 黃幹)

必有可觀者焉 : 은 반드시, 는 있다, 可觀은 가히 볼만하다, 於是, 小道.

致遠恐泥 : 致遠‘(小道)깊이 들어가다’, 은 아마, 빠지다, 달리 致遠은 원대함(큰 목표)에 이르다, 은 염려하다, 는 막혀서 통하지 않다().

不爲也 : 不爲는 추구하지 않다, 목적어인 小道가 생략, 는 단정의 어조사.

 

[기타사항]

天下多得一察焉 以自好 譬如耳目口鼻 皆有所明 不能相通 猶百家衆技也 皆有所長 時有所用 雖然 不該不徧 一曲之士也(莊子 天下篇).

천하에는 하나의 살필 것을 얻어서 스스로 즐거워하는 사람들이 많다. 비유하면 이목구비가 모두 밝은 바가 있으나 서로 통할 수 없는 것처럼 제자백가의 많은 기예가 능한 바가 있어 때때로 쓰이는 바가 있어도 치우침이 있으니 한 가지 기예에 능한 선비일 뿐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