第五十五章(含德章, 玄符章)
含德之厚 比於赤子
毒蟲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脧作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
知和曰常
知常曰明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 풀이 ]
1.1 含德之厚 比於赤子
「 덕을 두텁게 머금고 있는 사람은 갓난아이에 비유된다. 」
※ 含(함) : 머금다.
※ 赤子(적자) : 갓난아기, 청정심, 무심에 비유된다.
1.2 毒蟲不螫
猛獸不據
攫鳥不搏
「 독충이 쏘지 않으며
맹수가 할퀴지 않으며
맹금류가 채가지 않는다. 」
※ 螫(석) : (벌레가) 쏘다. 據(거) : 어거하다, 할퀴다. 攫(확) : 붙잡다, 채가다. 搏(박) : 붙잡다.
1.3 骨弱筋柔而握固 骨弱筋柔而握固
未知牝牡之合而脧作 未知牝牡之合 然怒
精之至也 精之至也
終日號而不嗄 和之至也 終日號而不懮 和之至也
「 뼈가 약하고 근육이 유연함에도 잡았다 하면 굳세게 잡으며
암컷과 수컷의 교합을 알지 못하는데도 자지가 일어나니
精의 지극함이며,
종일 부르짖어도 목이 쉬지 않으니 조화의 지극함이다. 」
※ 握(악) : 쥐다. 牝(빈) : 암컷. 牡(모) : 수컷.
※ 脧(최) : 가난 아기의 음부, 오그라들다.
※ (未知牝牡之合而全作 : 王弼本)
1.4 知和曰常 和曰常
知常曰明 智常曰明
「 조화를 아는 것을 '떳떳한 도常道'라 하고
常道를 아는 것을 ‘밝음明’이라 한다. 」
※ 常(상) : 常道.
1.5 益生曰祥 益生曰祥
心使氣曰强 心使氣曰强
「 생을 더함을 '상祥'이라 하며
마음이 血氣를 부림을 '강함强'이라 한다. 」
※ 祥(상) : ①상서롭다, 복 ②재앙.
· 一說 : 생에 이익을 주면 복이 되다.
· 他說 : 생에 이익을 더한다는 것이 재앙이 되다.
· 氣之自外來者 謂之祥氣.
※ 氣(기) : 혈기, 욕심.
1.6 物壯則老 是謂不道 物壯則老 是謂不道
不道早已
「 物은 장대하면 늙으니 이를 일러 道라 하지 않으며
道가 아니면 빨리 그칠 뿐이다. 」
[기타사항]
※ 이 장은 25장을 자세히 푼 것으로 주로 개인의 수양을 말하며 제50장의 善攝生者를 설명한다.
※ 常 : 자연 그대로의 상태, 차별이나 대립을 모르는 진실무망의 경지.
※ 갓난아기의 지각에는 六識인 知性은 있지만 意識은 없다. 숨구멍이 닫히고 말하기 시작하면 비로소 후천적인 사상과 의식 즉 六識이 시작된다.
'노자 > 노자연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治國나라를 다스리는 법 (0) | 2020.06.10 |
---|---|
知者不言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0) | 2020.06.09 |
善建잘 세운 것이란 (0) | 2020.06.05 |
大道甚夷대도는 아주 평탄한데 (0) | 2020.06.04 |
守母 어머니를 지키다 (0) | 2020.06.03 |